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d라이브러리
"
병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지구상에 있었던 바이러스가 된다. 여기서 이 개념은 에이즈나 백신이 듣지 않는 질
병
에 대해 치료법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어찌됐건 "생명이 탄생할 때 분자는 어떻게 조직화되어 자기증식하는 단위가 된 것인가"라는 문제를 연구할 때 바이러스는 유용한 모델이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보금자리를 꾸미는 행동을 게인스빌에 있는 플로리다 대학의 포유류유전학센터와
병
리학과, 그리고 의학연구소의 조 매닝, 에드워드 워크랜드, 웨인포트가 꼼꼼히 조사했다.흔히 볼 수 있는 집생쥐(학명 : Mus musculus domesticus)는 혼자 호사스럽게 살지 않고 둘 혹은 그 이상의 가족들을 위해 더 큰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근절을 선언1980-81년 미국의 갤로 등 사람의 발암레트로바이러스인 성인T세포백혈
병
바이러스(HTLV-1) 발견1983년 프랑스의 몬타니에 등 에이즈의 원인바이러스인 HIV를 발견1989년 미국 카이론사, C형간염 바이러스를 발견1990년 미국의 로젠버그, 바이러스를 사용한 유전자치료를 ... ...
물리- 대기압 이용한 요술 여섯가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이밖에도 플라스틱 음료수
병
을 끓는 물에 담근 다음 꺼내서 마개를 닫고 찬물로 식히면
병
이 찌그러지는 것이나, 컵에 물을 가득 담고 종이를 붙인 다음 거꾸로 세웠을 때 물이 쏟아지지 않는 현상, 헤론의 분수를 만들 수 있는 것들이 모두 대기압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 ...
인공항문 장착하고 수영도 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진행된 상태라면 개복수술을 해 암세포가 퍼진 대장 일부를 잘라내야 한다. 운나쁘게
병
소가 잘못 걸리면 항문까지도 함께 잘라내야 하는 경우도 있다.이때 절제한 대장의 끝부분을 복벽(대개 왼쪽 하복부)에 뚫은 구멍에 고정시켜 소화물을 몸 밖으로 배설하기 위한 출구로 삼는다. 시쳇말로 ... ...
라론형 왜소증 치료법 국내 첫소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95년 국내에서 개최 되는 것이 4회째가 된다.현재 세계적 추세는 전염성 질환이 줄고 당뇨
병
등 내분비관계 질환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지적하는 그는 이러한 분야에 정부나 기업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덧붙였다.이틀 동안의 학회진행을 보면서 1천5백명이 넘는 참가인원과 젊은 세대 의사들의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때는 지금까지는 꿈도 꾸어보지 못한 새로운 세계가 펼쳐 질지도 모른다." 포도주 한
병
을 놓고 자신의 라이벌인 오스트라이커와 내기를 하고 있는 칼텍의 천체 물리학자 손의 말이다.중력파는 어떻게 움직이나중력파는 공간과 물질을 수축시키므로 이를 통해 중력파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림)처럼 ... ...
700년 잠깬 레바논의 미라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매일밤 그 관에 부착된 규사로 만든 투명한
병
과 페놀을 분사하는 코트크마개가 달린
병
을 갈아주고 있다.폭격이 점점 심해지던 1990년대 말, 파디의 부인 마리 클로드와 당시 10세이던 그의 딸도 폭격을 피해 그 건물로 피신했다. 그들은 3개월 동안 계단 아래에서 쪼그린 채 자야만 했다. 이와는 ... ...
유리컵으로 바이올린 소리 내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진동체는
병
속의 공기이니까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공기 기둥이 짧아지거든요.컵이나
병
이외의 다른 물체로도 소리를 만들어보며 올 한해를 깔끔하게 마무리하길 바랍니다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70-80여종에 이른다는 것이 박주배 교수의 말이다.82년 암유전자가 발견된 뒤 인류의 불치
병
암이 갑자기 해결될 듯 여러 기대를 몰고 왔다. 그러나 암유전자가 발견됐다고 해서 암 퇴치를 곧장 바라볼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박주배 교수는 지적한다. "암유전자 발견이 암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