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4월 1일 만우절이 점점 다가오자 섭섭박사님은 아이들에게 자신이 초능력자라고 말했어요. 아이들은 섭섭박사님의 말을 의심하며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면 믿겠다고 말했지요. 그러자 섭섭박사님은 당장 보여 주겠다며 큰소리를 쳤어요. 과연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힌트 하나. ... ...
- 수학명언 책갈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못했을 거예요. 물체의 움직임을 수학적으로 나타내는 미분과 적분은 스승이었던 아이작 배로의 연구를, 운동 법칙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연구를 발전시켜 완성할 수 있었으니까요. 뛰어난 업적 때문에 주변 사람으로부터 많은 칭송을 받았던 뉴턴은 선조의 업적을 거인에 비유했습니다.뛰어난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거리 등 물리적 특성을 알아냈다.이번에 발견한 외계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1.43배다. 중심별까지의 거리는 1.16AU(약 1억7000만 km)로 지구 태양 간 거리(1AU, 1억5000만 km)와 비슷하다. 반면 중심별은 태양 질량의 7.8%밖에 안 되는 매우 작고 차가운 별로, 외계행성의 표면 온도가 명왕성보다 낮아 생명체가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15년 9월 ‘환경과학기술’에 공개했다. 갈색거저리 애벌레의 장에서 분리한 박테리아 배양액은 60일 동안 100mg의 PS 조각을 7.4mg 분해했다(doi:10.1021/acs.est.5b02663).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에 비하면 매우 적은 양이다. 하지만 이 연구들은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다양한 곤충이 존재할 수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대통령이었던 드와이트 아이젠 하워의 말로 글을 맺는다.“훌륭한 장군은 전략을 배우고, 유능한 장군은 병참학을 공부한다. 하지만 전쟁에서 승리하는 장군은 날씨를 아는 장군이다.”반기성공군 기상전대 대장, 연세대 지구환경연구소 전문연구원, 기상청 정책 자문위원을 거쳐 현재 기상 정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배아가 급격하게 자라는 시기와 겹칩니다. 따라서 신경주름이 붙는 시기를 놓치면 배아는 신경관이 열린 채 발달을 계속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를 신경관 결손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척추갈림증(이분척추)인데 선천적으로 신경관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신경손상이 일어나고, 심한 경우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멀리 거주 공간이 보였다. 커다란 건물도 인공호수도 모두 조그만 모형 같았다. 물 위에 배를 띄워 놓고 노는 사람들도 보였다.‘나도 저렇게 우리 가족과 함께 즐겁게 지낼 수 있으면 좋을 텐데.’그런 생각이 들자 엄마 생각이 나면서 마음이 무거워졌다. 하림이 공중에서 엉거주춤하자 다른 아이가 ... ...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다”고 말했다(앉아있을 때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은 바른 자세로 누웠을 때의 2.5배나 된다). 5월 16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이동수면공학연구소를 찾았다. 작은 캠핑카였다. 안으로 들어서니 한쪽에는 침대가, 또 다른 쪽에는 컴퓨터 화면이 있었다. 여기서 체형에 맞는 매트리스의 종류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뇌섬이 활성화된다는 것은 최면으로 몸을 통제할 수 있다는 걸 뜻한다고 분석했다. 한편 배측면전두엽피질과 후방대상피질, 중앙전두엽 간의 연결은 약해졌는데, 행동과 의식이 분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마치 오래달리기를 하다가 달리기를 멈춰도 몇 걸음 더 나갈 수밖에 없는 것처럼, ... ...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쥐나 원숭이보다 볶은 커피 냄새 중 하나인 ‘3-머캅토-3-메틸부틸포메이트’ 성분에 3배 더 민감했다. 또한 바나나의 주요 냄새 성분인 ‘아밀 아세테이트’를 개나 토끼보다 더 잘 맡았다. 땀 냄새(발레르산)와 숙성된 치즈 냄새(옥탄산)도 쥐, 원숭이, 개, 박쥐, 고슴도치 등을 제치고 가장 잘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