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카락
두상
두부
머릿골
얼굴
뇌
d라이브러리
"
머리
"(으)로 총 4,258건 검색되었습니다.
뛰어난 ‘사시’ 사냥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게으르고 느려터진 해마라도 눈알 굴리는 일은 물고기 중에서 최고다. 해마의 눈은
머리
양옆에 박혀 있는데, 카멜레온처럼 눈알이 각각 따로 움직인다. 작은 새우 같은 먹이를 발견하면, 해마는 주둥이를 갑자기 홱 돌리면서 물과 함께 빨아들인다. 움직이는 것을 싫어해 까닥거릴 뿐이지만 먹이를 ... ...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렌즈의 한가운데가 평평해서 얼핏 모자처럼 생겼다. 렌즈의 한가운데, 즉 모자라면
머리
가 들어가는 부분이 ‘기본(base) 커브’다. 기본 커브는 각막을 눌러 각막의 굴절률이 작아지게 만든다.기본 커브 주변에는 렌즈를 각막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맞춤(fitting) 커브’가 있다. 이 부분에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발이 보인다. 전복은 근육질의 발을 사용해 사물에 달라붙거나 기어다닌다. 몸 앞쪽에
머리
와 더듬이도 보인다. 더듬이를 꿈틀거리며 기는 모습을 보면 역시 조개보다는 고둥을 닮았다.전복 껍데기도 고둥 껍데기와 비슷하다. 보기엔 납작하게 생겼지만 자세히 보면 고둥 껍데기처럼 나선형을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20개의 감식테이블에 놓인 직사각형 모양의 쟁반에는 세척을 마친 유골들이 놓여 있었다.
머리
뼈와 어깨뼈, 넓적다리뼈 등 전신의 뼈가 90% 이상 남은 ‘완전유골’부터 몇 명의 것인지 모를 만큼 넓적다리뼈만 수북이 쌓인 경우도 있었다. 매일 감식관들은 뼈 부위별로 굵기나 길이를 재고 치과 치료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언어인 춤이 식량뿐 아니라 새집을 수색할 때도 쓰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하지만
머리
가 고작 잔디씨만 한 꿀벌이 어떻게 이 복잡한 일을 성공적으로 해내는 걸까. 비밀은 1997년이 돼서야 밝혀지기 시작했다. 1995년부터 미국 코넬대 생물학자 토마스 실리 교수는 새집을 찾아 나선 꿀벌의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과정을 밟고 있던 평범한 학생 애덤 윌슨은 이 점에 주목해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냈다.
머리
에 떠오르는 생각을 트위터에 23개 글자로올리는 일종의 새로운 방식의 뇌 입력장치였다. 말을 하거나 무엇인가를 떠올릴 때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 변화를 감지하면 이를 글로 번역할 수 있다는 점에 ... ...
사건파일 3 공룡폭행사건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중에는 동료에게 경고음을 불어 위험을 알린 공룡이 있다. 파라사우롤로푸스라는 공룡은
머리
위에 달린 튜브에서 48~240Hz(‘도’ 음은 262Hz)의 낮은 음을 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낮은 음은 자신의 위치는 숨기면서도 소리를 멀리까지 보낼 수 있다.다툼의 원인은? : 초식공룡 vs 초식공룡 이번에는 왜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그 눈빛 속엔 번뜩이는 총명함이 함께 흘렀다.‘도대체 이 사람들은 누굴까?’ 지오의
머리
속에서 의심과 궁금증이 얼기설기 엉켰다. 왠지 모를 두려움도 함께 일었다. 그런 지오의 마음을 눈치 챈 걸까? 황산사가 집 안으로 지오를 끌며 말했다.“이리 들어와 보렴. 여기가 뭘 하는 곳인지 알려 줄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뿔도 났지만 눈이 좀 더 정면에 위치해 있다. 날카로운 원통형의 뿔은 암수 똑같이
머리
위에 두 개씩 나 있다. 산양은 1900년까지만 해도 전국적으로 1만여 마리가 고르게 분포할 정도로 풍부한 개체수를 자랑했다. 하지만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급격히 수가 줄어 현재는 700~800마리 정도만 강원도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중국 하이난 성의 화장장, 스웨덴 뤼뢴까지 세계 곳곳을 다니며 인육만두 빚기나
머리
이식처럼 실제 일어난 것인지 아닌지 확인이 안 된 이야기부터 시신을 사용하는 다양한 사례를 수집했다.끔찍 하고 혐오스러울 수 있는 이야기를 저자만의 독특한 필체로 밝고 유쾌하게 풀었다.저자는 시신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