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만사 둥글둥글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길이가 같을 때 넓이가 가장 큰 도형이랍니다. 디도 공주는 원 모양의
땅
을 확보해서 그
땅
에 도시국가인 카르타고를 건설했어요. 나중에 로마와 전쟁을 벌일 만큼 힘있는 나라로 발전했지요. 소 한 마리로 국가를 세운 디도 공주의 지혜가 놀랍지 않나요?원의 둘레와 π의 발견선생님 : 신기한 도형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스스로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이 마을을 세우거나 밭을 일군 경우에는 강의
땅
이 부족하다. 강 주변에 건설 중인 ‘생태공원’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이런 경우 마을이나 밭, 공원을 범람원 ‘밖으로’ 옮겨야 한다. 지역 주민들 사이의 합의가 필요한 대목이다. 또 필요에 따라 둑을 세워야 ... ...
잠에서 깬 5500년 전 가죽 신발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 신발이 고대인의 것일지도 모른다고 추정했지만 확신할 만한 근거는 없었다.
땅
에 묻힌 가죽이나 면이 그렇게 오래 보존될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일랜드 코크대 론 핀하시 교수를 포함한 고고학자들은 샘플 조각으로 연대를 측정한 결과 이 신발이 무려 5500년 전에 만들어졌다는 ... ...
사건파일 3 공룡폭행사건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주름이나 홈이 파인 것 등 다양하다. 알의 숨구멍은 언제나 오목한 부분에 나 있어 알이
땅
속에 파묻히더라도 숨구멍이 막히는 일을 방지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공룡나라의 수학탐정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 사건파일 2 도둑의 발자국 사건파일 3 공룡폭행사건 인터뷰 ... ...
자연의 놀라운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곡선을 택한 것일까? 수리부엉이는 나무 아래로 떨어지듯 급한 경사로 내려오더니
땅
과 평행할 정도의 각도로 생쥐에게 다가왔다. 놀랍게도 수리부엉이가 그려낸 곡선은 갈릴레이, 파스칼과 같은 위대한 수학자들이 연구했던 ‘사이클로이드’다.사이클로이드는 평면에 원을 굴렸을 때 원에 찍은 ... ...
다각형은 팔방미인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지구 표면의 70%를 덮고 있는 물은 고체, 액체, 기체로 바뀌면서 순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땅
의 모습을 바꾸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나일 강 하구의 삼각주(이집트)하천 상류에서 운반된 물질들이 하구에 퇴적되어 만들어진 지형이다.-중학교 1학년 사회교과서(미래엔컬처그룹) 66~67쪽사회 과목은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물어 봐~. ▲ 나스카의 새 무늬 사발 (페루 국립고고인류역사학박물관)나스카는
땅
에 그려진 거대한 동물 그림이 유명해. 한때는 외계인이 그렸다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지금은 안데스 산맥에 살던 고대 사람들이 그렸다는 의견이 더 많단다. 나스카의 그림 가운데에는 새를 그린 그림도 많았는데,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산양을 비롯한 야생동물들이 평소 다니는 그 길이다. 곳곳에 노루의 배설물과 멧돼지가
땅
을 판 흔적들이 보였다. 설악산처럼 등산객이 많이 찾는 산도 등산로를 약간 벗어나면 동물원에서나 봄 직한 동물들이 뛰어다니는 길이 있다.사실 국내 산양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산양이라고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6월은 성장의 계절이다. 눈이 녹고 햇살이 부드러워졌다는 신호를 받으면 대나무의
땅
속줄기가 어린싹(죽순)들을 틔우기 시작한다. 물론 4~5월에도 죽순은 돋지만 이때 나는 죽순은 수분이 많고 질감이 부드러워 사람들이 식용으로 사용하려고 많이 베어간다. 따라서 본격적으로 대나무 숲이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유골을 덮은 한지가 보인다. 처참했던 전투의 아픔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었다.
땅
위에 살짝 깔려있는 부엽토(나뭇잎이 썩어서 생긴 흙)를 조심스레 치웠더니 금세 유골 여러 개가 모습을 드러낸다.유해마다 11자리 임시군번 부여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은 2000년 한국전쟁 50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