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역사는 50년대 MIT를 중심으로
대형
시스템에 침투한 제1세대 해커, 70년대 퍼스널컴퓨터를 탄생시킨 제2세대 해커, 80년대 게임프로그램을 개발해 해커사업체를 발전시킨 제3세대 해커 등으로 구분된다.컴퓨터의 일부 분야에서 '해커'(hacker)라는 말이 엉터리 프로그래머, 컴퓨터광 등의 조소적인 의미로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망원경을 통해 볼 수 있는 여름밤 천체들이다. 이들을 더 잘 관찰하기 위해 망원경이
대형
화됐고 사진으로 남기려 적도의 마운트가 개발 개량돼 왔다. 이들 성운 속에서 별들이 죽으면서 성운으로 되돌아간다. 한여름 밤하늘의 거대하고 환상적인 성운속으로의 여행은 우주공간에서 벌어지는 장대한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명명된 이 기계는 기존의 기계에 비해 약간 색다른 모양을 하고 있었다. 기존의
대형
컴퓨터들은 거대한 캐비닛이 길게 늘어선 모양이었다면 크레이Ⅰ은 파인애플의 심지를 파낸 원기둥 모양이었다. 원기둥안에는 1.3m가량의 지름을 가진 빈 공간이 있었으며 전체 높이는 2m정도였다. 기존의 컴퓨터가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속하기 때문에 지극히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내고 있다. 대머리독수리 가마우지 등
대형
조류를 비롯해 최소한 1백75종의 조류, 흑곰 미국너구리 흰코끼리 사슴 스라소니 여우 수달 등 젖빨이동물도 다양하다. 흑곰은 이 지역에 몇가족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곰과 마주치다필자는 1984년 여름 ... ...
1 전화벨에서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크게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김포국제공항은 우리 나라 산업 발달과 비례해 항공기의
대형
화, 그리고 운항 횟수의 증가로 인해 피해 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지금까지 피해 보상 소송도 미해결 상태로서 하루 속히 해결해야 할 심각한 문제다.항공기 소음 피해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은 소음의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선수의 기록보다 약간 빠른 것이다.
대형
공룡의 속도는 여기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대형
인 사우로포드류는 약 1m/초로 사람이 걷는 속도에 불과하다.
대형
육상동물이 어떻게 자기 몸무게를 유지했을까에 대해 처음 의문을 제기했던 사람은 17세기초의 갈릴레이다. 그는 크기가 몸구조에 미치는 ... ...
차세대원전 「몬주」 내년 10월 점화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스테인리스 배관이 설치된다. 따라서 원자로 주변의 구조가 복잡하고 시설의
대형
화가 피할 수 없으며 건설비가 많이 드는 결점이 있다. 탱크형은 중간열교환기 등을 원자로 안에 배치해 구조는 간단하지만 내진성(耐震性)이 문제다.고속증식로는 경수로에 비해 많은 핵폐기물이 나오며 사용후 핵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관심을 충분히 끌 수 있다는 낙관적인 견해도 있다. 전자카메라는 VTR와 마찬가지로
대형
화면으로 치닫고 있는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자기가 촬영한 것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자사진의 참여로 사진문화에도 다양화와 개성화라는 새로운 시대의 막이 오르고 있다 ... ...
2 호흡이 빨라지며 혈관이 수축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있다.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80~85㏈은 자동차가 빈번히 다니는 번화가의 소음이며
대형
버스가 고속으로 질주할 때 내는 소리는 90㏈ 정도인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이 버스가 클랙슨을 계속 눌러댄다면 바로 옆에서 측정한 소리값은 워크맨 최대 음량인 1백15㏈을 넘어선다.이비인후과 의사들은 9 ... ...
하와이의
대형
망원경 맹활약 기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태양 표면보다 더욱 고온인 1백만℃나 되는지를 아직 알지 못한다. 이번 개기일식은 3.6m
대형
망원경이 활약할 수 있으므로 코로나를 비롯, 일종의 자기에너지로 지구 대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채층(彩層) 등을 관찰, 태양에너지가 어떤 과정을 거쳐 외부로 방출되는지를 밝혀낼 수 있는 좋은 기회임에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