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부근에서는 자전의 반대 방향으로 초속 1백m의 바람이 불고 있었다. 또한 이 행성은 북극
근처
가 적갈색으로 조금 어듭게 보이는데, 이는 상층 대기의 조직적인 운동으로 극 부근에 메탄과 아세틸렌 등의 탄화수소 분자가 집중돼 있어 생기는 안개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는 마치 대도시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걸쳐있다. 이 천체는 별바다(별이 많이 모여 있는 지역)속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처
에 표적이 될 만한 별이 없는 것이 단점이다. 이 성단을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은 광학적 쌍성인 45번별에서 시작해 망원경을 천천히 5.5º 서쪽으로 옮기는 것이다. M62는 6.6 등급에 14.1' 크기로 4인치 망원경으로도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42)가 16일 일리노이주 남부에서 자동차사고로 사망했다. 미국에 귀화한 이박사는 시카고
근처
의 국립 페르미가속장치연구소의 이론물리학 책임자였으며 시카고대학교 물리학 교수였다. 페르미연구소가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이박사는 콜로라도주의 한 과학회의에 참석차 여행하다 자동차사고를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걱정할 것이 못된다.정답1. ② 이산화질소에 의한 대기의 산성화와 산성비는 오염원
근처
의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반면 이산화황에 의한 산성비는 보다 넓은 지역에 영향을 끼치므로 국가간 정치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한다. 이산화황은 세단계를 거쳐 황산이 되는데 그 반응시간은 대략 3, 4일이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무릎 꿇은 자의 머리 헤라클레스의 머리를 나타내는 알파 별(α Hercules)은 뱀주인 어깨
근처
에 위치한다. 이 별은 흔히 라스알게티(Rasalgethi)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아라비아말로 '무릎 꿇은 자의 머리'라는 뜻이다. 알파 별은 일반적으로 적색거성으로 분류되는데 초거성에 집어 넣기도 한다. 대개의 ... ...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들은 등불을 향해 무작정 날아들기도 한다. 여름밤에 풍뎅이들이 '딱'소리를 내며 등불
근처
로 달라드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4.③ 돼지는 멧돼지를 가축화한 것이다. 이들은 멧돼지처럼 한꺼번에 3~12마리씩 많은 새끼를 낳는다. 새끼들은 태어나기가 무섭게 젖꼭지를 찾아 다투지만 생후 1,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나누어지는데, 노끈과 같이 꼬인 모습에 매듭과 같이 불룩한 부분도 있다. 보이저 2호가
근처
를 통과하면서 관측한 결과 고리의 물질이 빠르게 움직여서 고리의 모습이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이것은 이 고리 근방을 돌고 있는 위성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중력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이 만드는 유성우가 바로 그들이다. 이 유성우는 물병자리의 북쪽 부분에 자리한 에타 별
근처
를 복사점으로 해서 매년 5월 초순경 시간당 20개 정도의 유성을 떨어뜨린다. 이 유성우의 극대기는 완만하며 최대일을 전후로 해서 며칠동안(5월2일~7일) 매우 활발히 활동한다. 그러나 이 유성우를 ... ...
산꼭대기 피라미드에서 자연과 벗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생식(生食)을 하며 우주와 자연을 노래하는 사나이가 살고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근처
의 말리부(Malibu) 산기슭은 수백만달러씩 하는 저택들이 들어서 있는 부자동네로 유명한 곳이다. 바로 이곳에 이들과 대조적으로 산꼭대기에 피라미드식 집을 지어놓고 독특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있다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 심지를 높이 평가했다. 대개 미나리를 가꾸는 논은 그 마을의 가장 저급 논이다. 마을
근처
의 하수가 모두 흘러 들어오는 시궁창 같은 물을 이용해 미나리를 기른 것이다. 그렇지만 미나리는 그 더러운 물을 여과하고 흡수해 싱싱하고 파랗게 자란다. 바로 이 모습을 어떤 악조건도 이겨내는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