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쌤의 꿀팁] 수학 잘하고 싶다면 '왜?' 라고 질문하세요~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인수분해가 안 되는 경우가 생기거든요. 학생들은 인수분해를 하기 위해 인수분해 가능한 수를 찾아요. 그 과정에서 어떨 때 인수분해가 안 되는지 궁금증이 생기죠. 이 질문은 근의 공식과도 연결돼요. ‘인수분해가 안 될 때 쓰는 게 근의 공식이네’라고 말이죠.” 수행평가 덕분에 모두가 ... ...
- [납량특집] 몬스터, 공포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Intro. 몬스터, 공포의 정체를 밝혀라!Part1. 좀비가 된 이유는?Part2. 프랑켄슈타인 가능할까?Part3. 몬스터는 억울해!Part4. 밤에 오는 불청객을 쫓아내려면?Part5. 두려움에 맞서자! 도움 및 사진★나흥식(고려대학교 생리학교실 교수), 이성환(고려대학교 뇌공학과 교수), 김시윤(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결과랍니다. 실제 벌새처럼 180° 회전하며, 잠시 동안 공중에서 정지한 채로 있는 것도 가능해요. 1초에 30번 이상 방향을 바꿀 수도 있지요. 벌새 로봇은 카메라가 없어 물체를 볼 순 없지만 물체표면에 살짝만 닿아도 방향을 잽싸게 바꿔요. 또 무게는 12g로 작고 가벼우며, 제 무게의 2배가 넘는 2 ... ...
- 노트르담 지킴이, 앤드루 탤런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새로운 모습으로 복원하자는 목소리도 있어요. 파리의 건축사무소 NAB는 태양열 발전이 가능한 온실로 지붕을 대체하자는 아이디어를 내기도 했고, 슬로바키아 건축가 미칼 코박은 레이저 첨탑을 짓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답니다. 드론부터 3D 스캐닝까지. 그 동안 노트르담 대성당을 지켜온 우리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복원이기도 하다.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 공룡을 100% 정확하게 복원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우리는 단지 화석이라는 ‘조그만 창’으로 그들의 모습을 엿볼 뿐이다. 여기저기 부서지고 변형됐으며 일부는 손실된 골격을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최선의 기술을 동원해 복원하는 과정은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배아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키메라 배아는 유전적으로 유사한 동물 사이에서만 가능하다. 쥐의 배아세포에 래트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주입하거나, 돼지의 배아세포에 사람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주입했을 때는 키메라 배아가 만들어진다. 하지만 돼지의 배아세포에 래트의 ... ...
- THE NOBEL PRIZE 2019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변은 없었다. 올해 노벨상의 선택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대로 ‘인류에게 최대의 혜택(the greatest benefit to humankind)’을 가져다준 9명의 과학자였다. 생리의학상은 인류의 건강 ... 설계도를 그리다Part4.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Part5.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해가 지날수록 수상자의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는 몇 가지 분석이 가능하다. 우선 인류의 고령화 자체가 한 가지 원인일 수 있다. 노벨상이 생존해 있는 사람에게만 수여되는 만큼 ‘오래 살아야 노벨상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는 기정사실처럼 굳어지고 있다.또 다른 이유도 있다. ...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깨어난다고 하더라도 사람의 체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며 “저체온이 나타날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람의 체온은 보통 36.5~37.5도로 유지되는데, 이보다 낮아지면 저체온증 증세가 나타납니다. 일단 온몸에 경련이 일어나고, 체온이 33도 이하로 내려가면 기억 상실과 환각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자손을 낳아서 길러본 경험이 없습니다. 그런 인공지능이 사람을 돌보는 일이 가능할까요? 지난 호에는 반란을 일으키는 인공지능에 관한 이야기를 했는데, 이번에는 거꾸로 인간을 돌보는 인공지능이 있을 수 있는지 생각해보겠습니다. 편집자 주 본문은 해당 작품의 스포일러를 담고 있습니다.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