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7,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괴짜 수학자, 농담도 잘 하셔!수학동아 l201202
- 수치 계산과 암기에 놀라운 능력을 나타냈고, 이런 능력은 수학자가 돼서도 난해한 수들 사이의 심오한 관계를 찾아내는 데 큰 도움이 됐어.아, 내가 아파서 병원에 입원했을 때 얘기를 해야겠군. 동료 수학자인 하디가 병문안을 왔는데, 자신이 오늘 타고 온 택시 번호가 1729라는 거야. 그리곤 1729에 ...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수학동아 l201201
- 포장도 편리하고 경제적이야. 만약 라면이 직선이었다면 어땠을까? 억지로 면발과 면발 사이의 공간도 확보하느라 쓸모없는 공간이 늘어나 부피가 엄청 커졌겠지? 차치수의 '라면 정복하기' 프로젝트❸라면의 전설을 만나라!라면의 아버지, 안도 모모후쿠라면의 역사는 생각보다 길지 않아. 제2차 ... ...
- 새해 가족 미션, 십이면체 달력 만들기!수학동아 l201201
- 여기서 준정다면체는 정다면체의 꼭짓점 부분을 깎아내거나 정다면체의 면 사이를 정삼각형으로 채워 만든 다면체를 말한다. 이 준정다면체 각 면의 중심을 꼭짓점으로 이어 만든 다면체가 바로 쌍대다면체다.따라서 준정다면체의 쌍대다면체인 카탈란다면체 역시 13가지다. 마름모십이면체는 ...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과학동아 l201201
- 이주하면 전염병도 따라온다. 딘 스노우 미국 뉴욕주립대 인류학과 교수가 1995년 ‘사이언스’를 통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1634년 미국에 유행한 천연두 때문에 북아메리카 북동쪽에 살던 토착민 모호크 족의 인구는 7700명에서 1700명으로 80% 가까이 줄어들었다. 전염병에 의한 인구 감소 가능성은 ... ...
- 산더미 같은 데이터에서 보물 캔다과학동아 l201201
- 72개 추출할 수 있었다. 이 중에는 음식이나 숙주의 성별 등 미생물에게 영향을 주지만 종 사이에는 관계는 없는 ‘숨은 요인’ 312개가 포함돼 있었다. 기존 어떤 방법으로도 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요인도 188개나 발견됐다.연구팀의 파디스 사베티 하버드대 시스템생물학센터 교수는 “많은 데이터가 ...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과학동아 l201201
- 100% 딱 맞는 보형물을 만드는 일은 불가능했다.하지만 3차원으로 뼈 모형을 인쇄하고 뼈 사이에 있는 공간을 거푸집으로 삼으면 효율적인 보형물을 만들 수 있다. 현재 전문가들은 레이저를 쏘면 녹았다가 상온에서 굳는 티타늄 파우더로 인체 보형물을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캐나다 맥길대 ...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01
-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경우 2100년의 인구는 가까스로 100억을 넘을 예정이다.10년 사이에 인구에 대한 예측이 조금은 희망적으로 바뀐 셈이다. 인구 증가 추세가 언제 그칠까.국제인구과학연구연맹 자문위원인 카트린 롤레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세계의 인구 동향을 다룬 저서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01
- 속도의 변화에 대한 저항, 즉 관성 또는 질량을 의미한다.”(‘우주의 풍경’ 154쪽, 사이언스북스)입자가 힉스와 상호작용해 운동을 방해받는 정도가 클수록 질량도 크다는 얘기다. 질량을 부여하는 힉스가 없다면 입자는 모두 광자처럼 빛의 속도로 날아다닐 것이다. 그러면 원자도 분자도 있을 수 ...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과학동아 l201201
- 빈 공간이 사라지기 때문이다.전형적인 중성자별은 대략 태양의 1.4배에서 2배 사이의 질량을 지니고 있으며 반지름은 태양의 6만분의 1에 불과한 약 12km정도다. 중성자별의 밀도는 3.7×1017∼5.9×1017kg/m3 정도로 원자핵의 밀도인 3×1017kg/m3와 비슷하다. 즉 중성자별은 거대한 원자핵인 셈이다.중성자별 ...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과학동아 l201201
- 이 다리는 현수교이기 때문이다.현수교는 다리 양 쪽에 높고 튼튼한 기둥을 설치하고 그 사이를 케이블로 연결한다. 이 케이블에 다리 상판과 연결된 줄을 매달아 상판을 단단히 잡고 있다. 현수교의 케이블은 아치모양으로 굽어져 있다. 바로 이런 구조로 인해 긴 상판이 받는 하중을 양쪽의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