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기준이 감정임을 생각해 볼 때 감정을 느끼는 로봇이 발명된다면 사람과 로봇 사이의
거리
는 한층 좁혀질 것이다.언젠가는 사람처럼 똑똑한 로봇을 만들 수 있을까? 이 질문에 오준호 교수는“아직은 가능성이 낮은 얘기”라고 말한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로봇은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 ...
다무리아 마을에 나타난 악당 무라카와 쓰지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문제의 정답물이 지나가는 시간이 굉장히 빨라 밸브를 여는 시간이 문제라고 했다. 즉
거리
가 가까워도 밸브가 많으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뜻이다. 조금 돌아가더라도 밸브의 수가 가장 적게 드는 길은 그림과 같다. 씻지 않고 100일무라카와 쓰지마는 물을 아끼는 마음을 갖도록 하기 위해 사건을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0
찌푸리게 한다.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뿡뿡 방귀를 뀌는 사람이 있다면 아마 웃음
거리
가 될 것이다. 게다가 냄새까지 지독한 방귀라면?방귀는 창자 속의 음식이 발효되어 나오는 가스와 음식을 먹을 때 입으로 들어간 공기가 섞여 만들어진다. ‘뽀옹~’하는 소리는 방귀가 나올 때 항문 주위의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9
입체감을 느끼는 것이지요. 한쪽 눈을 감고 두 손가락 맞추기를 해 보세요. 입체감과
거리
감이 줄어들어 맞추기 힘들다는 걸 느낄 수 있을 거예요.대뇌우리가 기억하고 생각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은 대뇌 덕분이지요. 이런 대뇌는 두 개의 반구로 나누어져 있는데 신기하게도 왼쪽은 우리 몸의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9
들리는 듯 해요.알쏭달쏭 풀 어 보아요!1. 축척이 1:25,000인 지도가 있다. 지도 위에서 2㎝
거리
는 실제로 얼마인가?① 50m ② 5m ③ 50,000cm ④ 5km2. 다음 글을 읽고 이 글의 중심 생각을 나타내는 말을 고르세요.아가씨는 훤하게 먼동이 터올라 별들이 해쓱하게 빛을 잃을 때까지 꼼짝 않고 그대로 기대고 ... ...
분자는 움직이는거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8
약하다. 따라서 일정한 모양이 없고 온도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한다.고체분자 사이의
거리
가 가깝고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분자 사이의 결합력이 강해서 모양과 부피가 일정하다.액체분자가 고체보다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어떤 그릇에 담느냐에 따라 모양이 결정되고 부피는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8
중인 유도무기는 어떤 것인가요?A : 유도무기는 여러분이 아시는‘미사일’입니다. 먼
거리
를 날아서 목표물을 정확히 맞추는 우수한무기지요. 현대전에 유도 무기가 없으면 적의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답니다. 현재‘한국형 다연장로켓, 한국형 함대함 유도무기, 한국형 지대공 ... ...
아프리카 특급열차 '싸빠리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7
10초에 시속 8km씩 더 늘어난다. 브레이크 버튼을 누른 다음 열차가 멈출 때까지의 제동
거리
는 100m. 지금부터 5km씩 이동할 때마다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램프가 순서대로 켜진다. 지금은 노란색 불이 들어와 있다. 브레이크 버튼을 눌러야 할 때는 어떤 색깔의 램프에 불이 들어왔을 때일까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3
통해 보는 천체의 빛은 항상 과거의 빛이기 때문이에요. 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
이므로 2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안드로메다의 빛은 200만 년전에 출발한 빛이지요. 즉 지구에서 인류가 시작될 때 안드로메다에서 출발한 빛을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셈이죠.지구에서 30억 광년지구에서 30억 광년 ... ...
한여름에 떠난 북극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3
물고기 잡는 기술도 뛰어나다.높은 절벽 근처의 바다오리 둥지 주위를 어슬렁
거리
는 녀석이 있다. 바로 북극여우다. 날씨가 따뜻해져 새들이 많이 찾아오자 신이 난 북극 여우는 바다오리의 알을 훔쳐 유유히 사라진다. 북극여우는 다가올 겨울을 대비해 먹고 남은 먹이를 눈 속에 파묻어 둔다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