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사진"(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대표적인 성공 사례를 묻는 질문에 대뜸 이탈리아 로마 외곽에 있는 ‘주빌리 교회’ 사진을 내밀었다. “주빌리 교회는 2003년에 완공돼 10년 된 건물이지만 여전히 외벽이 새것처럼 하얗습니다. 벽에 자기정화 기능이 있는 광촉매 나노물질를 발랐기 때문입니다.” 광촉매는 냄새와 세균을 ...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동아사이언스 l2013.04.29
- 바로 전문 인력 양성입니다.” 이상기 순천향대 의료생명공학과·의약공학과 교수(62·사진)는 오랜 연구소 생활과 바이오기업 창업 경험을 들며 인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을 역임한 그는 2009년에 순천향대 교수로 자리를 옮겨, 순천향대 산학협력 선도대학(SCH LINC) ... ...
- 맛이 좋은 커피, 몸에 좋은 커피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차가운 물로 오랜 시간 천천히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더치커피 기구를 보면(옆 사진) 화학실험실의 액체크로마토그라피 장치가 연상된다. 찬 물이 한 방울씩 분쇄한 원두가 가득 들어있는 유리통 안으로 떨어지면 물이 포화되면서 아래로 한 방울씩 떨어져 커피액이 얻어진다. 한번 추출에 ...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열려있을 때 스크린에 닿은 전자 입자 하나하나를 검출해 위치를 표시했다. 오른쪽 사진을 보면 위에서 두 번째부터 아래로 각각 전자 2개, 7개, 209개, 1004개, 6235개가 검출됐을 때 위치가 기록돼 있다. 209개일 때까지만 해도 무작위로 보이지만 1004개의 경우는 뭔가 줄무늬 패턴이 보이는 것 같고 623 ...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것으로 알려졌지만(운석이 떨어지면서 체바르쿨 호수 위 얼음판에 커다란 구멍이 뚫린 사진이 인상적이다) 다 합쳐봤자 원래 유성체 질량의 5% 내외로 추정된다. 따라서 대기권 폭발에서 운동에너지 대부분이 사방으로 흩어졌을 것이다. 그런데 왜 히로시마 원폭에 비하면 피해가 미미할까. 잠깐 ...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발현에 대해서는 막연히 추측할 뿐이었는데 이 사진 한 장으로 많은 사실이 드러났다. 이 사진은 그 뒤 생명과학 교과서에 단골로 등장하면서 유명해졌다. 그 뒤 밀러는 이 기법을 써서 박테리아에서는 전사와 번역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생명과학 교과서에 나와 있는 내용들이다. ...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훨씬 젊어 보인다. 붉은털원숭이의 평균수명은 27살이다. (제공 Jeff Miller). 하지만 오른쪽 사진은 지난 9월 발표된 국립노화연구소 실험에 참여한 붉은털원숭이들로, 칼로리 제한군 원숭이(왼쪽)와 대조군 원숭이(오른쪽)의 모습에서 노화 차이를 가늠하기 어렵다. 둘 다 27살이다. - NIA 제공 사실 ...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3.04.01
- 5번 염색체와 부계(또는 모계)에서 받은 23번, 24번 염색체가 나란히 정렬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이 실려 있다. 생식세포를 만드는 감수분열 과정에서 가축화된 말 유래 5번 염색체와 프르제발스키 유래 23번, 24번 염색체가 나란히 배열하는 모습을 찍은 현미경 사진(위). 아래는 이를 도식화한 그림. ... ...
- 과학수사도 ‘콘트롤 타워’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3.03.31
- 실험실을 상정한 이미지 사진. 국내 과학수사 기법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관련 기술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법과학’ 분야는 선진국에 비해 미진하다는 지적이 많다. 과학동아 제공. 3월 27일 서울 강남구 팔레스호텔에서는 ‘과학수사’의 발전방향에 대한,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토론회가 ... ...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3.01.28
- 맡게 될 겁니다.” 지난해 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새 선장으로 취임한 오태광 원장(59·사진)은 최근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은 바이오정책을 재정비하고 바이오 분야를 타 분야와 융·복합하며 전문화, 대형화를 꾀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에서도 그런 변화가 필요하고, 그 중심에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