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스페셜
"
모습
"(으)로 총 2,69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해당 부위의 신경조직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일어나는 질병이다. 그런데 세포가 죽는
모습
이 암세포의 페롭토시스와 비슷했던 것이다. 나이가 들수록 뇌의 철분 함량이 높아진다는 것도 스톡웰 교수의 입장에서는 반가운 사실이다. 그리고 도파민이 GPX4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GPX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폭발, 사건의 재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불꽃의
모습
을 표지에 담았다.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 꼭대기의 할레마우마우 분화구의
모습
이다. 할레마우마우 분화구는 화산이 폭발하며 빈 마그마방이 무너져 생기는 분지인 칼데라 중앙에 있다. 킬라우에아 화산은 지난해 5월부터 8월까지 분화하며 3개월간 엄청난 양의 용암을 내뿜었다. ... ...
[인류와 질병] 유독 인간에게 찾아오는 질병 '암'
2019.12.07
칼키노스(kalkinos)라는 병명을 붙였는데, 암 조직을 자르면 정맥이 사방으로 펼쳐진
모습
이 마치 ‘게’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칼키노스는 그리스어로 게라는 뜻이다. 기원 무렵의 의사 셀수스는 그리스어의 칼키노스를 라틴어로 옮겨 캔서(cancer)라고 명명했다. 암(癌)이라는 한자 병명은 기원후 118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에게 이타심을 가르치는 법
2019.12.07
하고 6개월 즈음이 되면 옷을 갈아입힐 때 팔을 들어올리는 등 양육자에게 협조하는
모습
을 보이기 시작한다. 이는 양육자의 곤란함을 덜어주기위해 하는 행동이라기보다 양육자와 함께 하는 일종의 ‘놀이’에 가깝다. 양육자와 함께 하는 활동이 ‘재미’있기 때문에 기꺼이 협조한다는 것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시아 최대 유전체 DB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07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5일 아시아 지도에 마치 별이 총총 박혀 있는 듯한
모습
과 함께 흡사 이 별을 분석한 결과처럼 보이는 스펙트럼이 지구 주위를 두른 이미지를 표지에 실었다. 네이처는 이번 호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아시아인 유전체를 분석한 국내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 ...
벌새·딱정벌레 닮은 생체모방로봇 미래전 양상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콘퍼런스(K-MSC)’에 발표자로 참여했다. 그는 생체모방 로봇으로 인해 달라질 미래 군의
모습
을 조망했다. KIST 제공 생체모방 로봇은 동물의 구조나 거동 원리, 메커니즘을 모방한 로봇이다. 로봇이 수행할 수 없었던 동작에 대한 힌트를 오랜 진화의 시간을 거쳐 동작 최적화를 이뤄낸 동물에게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황금쌀을 막지 못하면 둑이 터지듯이 GMO가 지구를 덮는 사태가 올 수 있는 것이라면 이런
모습
이 이해가 되지만(물론 동의하는 건 아니다) 이미 광범위한 지역에서 GMO 작물이 재배되는 현실을 생각하면 더 그렇다. GMO를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 되길 2015년 현재 세계 GMO 작물 재배 면적은 4억4400만 ... ...
軍·과학자 모여 미래 전쟁 판도 바꿀 '생체모방 무기' '우주전'을 말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KIST) 국제협력관에서 열린 '2019년 1차 코리아 매드 사이언티스트 콘퍼런스'의
모습
이다. KIST 제공 군과 과학자들이 모여 생체모방 무기와 우주전 등 미래 전장에 도입될 첨단 기술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육군교육사령부는 이달 3일과 4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층 더 상세하게 재현한 뇌 신경세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1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차원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생쥐의 대뇌피질
모습
을 연구팀 연구원들이 직접 수정에 나섰다. 오류의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대한 분석 및 작업을 약 4000시간 정도 투자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50만 세제곱마이크로미터(㎛3·100만분의 1m)의 부피로 신경세포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염증이 알츠하이머병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네이처는 28일 푸른색으로 표시된 ‘타우’ 단백질이 가득 들어찬 신경세포(뉴런)의
모습
을 표지에 실었다. 타우 단백질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함께 알츠하이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로 추측되고 있다. 베타 아밀로이드는 뇌 속에서 응집(플라크) 형태로 뭉쳐있고 타우 단백질은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