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준
척도
규격
규범
본보기
견본
준거
뉴스
"
표준
"(으)로 총 2,501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머노이드 ‘소피아’는 왜 여성일까?
2018.02.03
오해가 더욱 커질 수 있다”며, “인간을 대표하는 로봇이 문제가 되는 사회적 규범과
표준
을 따를 수 있다는 점은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영화 ‘엑스 마키나’의 주인공인 AI 에이바 - 엑스 마키나 화면캡처 제공 AI가 학습하는 데이터의 한계 사람들이 AI에 편견을 갖고 있다는 ... ...
‘위성은하’가 우주에서 줄 맞춰 도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꼽힌다. - 막스플랑크 천문학연구소 제공 우주와 은하의 탄생을 설명하는 현재의
표준
우주 모형에 따르면 위성은하들은 거대 은하 주변에 구 형태의 분포를 보이며 흩어져 있어야 한다. 연구팀의 관측 결과는 기존 이론으로 설명이 불가능하다. 연구팀이 센타우루스 알파의 위성은하 배열과 ... ...
민감한 연구시설 훤히 보이는데...“연구단지 복판에 고층아파트 짓지말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1.31
포함, 주위 여러 보안 연구 시설을 짧게는 50m 거리에서 내려다보게 된다.
표준
연 관계자는 “ETRI는 해당 부지 바로 옆이다. 우리 연구소도 앞 마당에서 뭘 하는지 속속들이 파악할 수 있는 곳에 고층 아파트가 들어서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매봉공원 부지가 현재 대부분 사유지로 돼 ... ...
하늘 날던 드론이 바닷속 잠수함으로 변신… 미리 엿본 드론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8.01.27
연구관은 “드론으로 수집한 정보를 통해 괭생이모자반의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해 관측
표준
화 작업을 할 계획”이라며 “분석한 정보를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괭생이모자반을 수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인간 두뇌 닮은 컴퓨터 가능할까… 美 연구진, 인공 시냅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1.27
학습하고 기억을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 개발도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국립
표준
기술연구소(NIST) 연구진은 초전도체를 이용해 인공 시냅스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사람이 학습할 때 뇌에 나타나는 효과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6일자에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②] 로봇 3원칙에 대한 고민… ‘아이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8.01.26
이미 사회 곳곳에서 쓰일 만큼 보편적인 개념이 됐다. 한국에서 심지어 3원칙을 산업
표준
으로 쓰고 있다. 2006년 산업자원부(현 산업통상자원부)는 ‘로봇 안전행동 3대 원칙’이란 이름으로 ‘서비스 로봇이 갖춰야 할 안전지침’을 만들어 KS규격으로 제정했는데, 그 내용은 인간보호와 명령복종, ... ...
가상화폐 게임 '크립토키티'가 성공한 이유는?
2018.01.23
나오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 이유는 크립토키티는 일반적인 이더리움과 달리 ERC-721
표준
을 따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ERC-721은 크립토키티를 개발한 액시엄 젠(Axiom Zen)의 아키텍트인 디어터 셜리가 구현한 기술인데요. 기존에 ERC-20로 발행되는 토큰은 1000원 짜리 지폐처럼 대체가 가능합니다. 이에 ... ...
서태평양 심(深)해저 화산에 한국 이름 새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7
거쳐 국제지명으로 등재될 수 있다. 해저지명소위원회는 전 세계 해저지명을 심의하고
표준
화 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국제적으로 해저지명은 탐사 선박의 이름을 따 명명된다. 하지만 이미 동해의 울릉도와 독도 사이에 ‘이사부 해산’으로 2005년 명명된 곳이 있어 이번에 발견한 해산은 ... ...
[2018년 필즈상] 프랑스 여성수학자 소피모렐 교수 후보, 20년간 못푼 수학문제 해결
수학동아
l
2018.01.16
입장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도 2017년에는 오랫동안 진전이 없었던 그로텐디크의
표준
가설에 관한 연구를 발표해 존재감을 과시했습니다. 워낙 어려운 분야를 연구해서 그런지 최근에는 연구 속도가 더디지만, 그간의 공만큼은 인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AIMATH 제공 한편 모렐 교수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생기는 알데히드가 DNA를 손상시키고 이를 제대로 복구하지 못한 결과임을 밝혔다. 설사
표준
형 Aldh2 유전자를 지닌 사람이더라도 몸에서 알데히드가 생기자마자 바로 아세트산으로 100%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DNA는 조금이라도 손상을 입기 마련이다. 다만 보통 사람들은 이를 복구하는 시스템이 있기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