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405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 원전 32.8%·신재생 21.5%로 확대…석탄은 21.2%로 감축
연합뉴스
l
2022.08.30
발전 허가, 계획입지 등 실현 가능한 물량 수준으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기
본의 전력수요 전망에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데이터센터 영향도 반영했다. ◇ 전력망 건설 확대…전력시장 다원화 추진 산업부는 앞으로 신규 원전건설 및 계속운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 발전설비 ... ...
차세대 대용량 전지 '리튬금속전지' 출력·안정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음극으로 사용한다. 리튬금속 음극은 흑연 음극보다 이론상 저장용량이 10배 이상 높아
전기
차나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 대용량 전지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리튬금속전지는 충·방전 시 리튬금속을 중공 코어에 효과적으로 저장하지 못해 리튬이 나뭇가지 모양으로 자라는 '수지상 결정 ... ...
“
전기
차 5년 뒤 10분 만에 90% 충전...휴대전화보다 빨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2.08.28
게티이미지뱅크 5년 후
전기
차 충전이 휴대전화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0분 이내 90%를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전기
차 ... 나왔다. 보고서는 "이 충전 기술이 상용화되는 데까지 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
전기
차 충전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했다 ... ...
최준일 KAIST 교수 IEEE 최우수 논문상…한국인 최초 4회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8.26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 KAIST 제공 KAIST는 26일 최준일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가 올해 국제
전기
전자공학회(IEEE) 이동체공학 학술회 최우수 이동체 전자공학 논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최우수 이동체 전자공학 논문상은 IEEE 이동기술 분과 저널에 지난 5년간 출판된 논문 중 가장 우수한 논문에 ... ...
태양빛 나눠 작물 생육·태양전지 충전 ‘두토끼’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5
기술은 작물 재배에 필요한 태양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빛으로
전기
를 생산하는 스마트팜 용 태양전지이다.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설치 시 태양빛을 막기 때문에 작물을 그늘지게 해 작물 생육에 악영향을 줘 태양전지를 스마트팜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 ...
반도체식 가스센서 실용화 앞당길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4
나노와이어 사이에 2차원(2D) 형태의 칼슘실리케이트를 성장시켰다. 주석 산화물은
전기
전도도가 크고 융점이 높은 세라믹 반도체 소재, 나노와이어는 지름이 나노 단위인 머리카락 형태의 원통형 선이다. 칼슘실리케이트는 시멘트의 원료로 보통 응집된 시트 형태로 존재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 ...
'4일간 뇌
전기
자극, 1개월 동안 기억력 개선"
연합뉴스
l
2022.08.23
섞어서 서로 소통한다고 밝혔다 약물은 화학 신호를 표적으로 하지만
전기
자극은
전기
신호가 표적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신경과학 전문지 '네이처 신경과학'(Nature Neuroscience) 최신호에 발표됐다. ... ...
[과학게시판] 에너지연, 연료전지 전극 제조, 개발 기술이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23
단열재로 사용되는 폐폴리스타이렌 재활용의 효율을 높이는 촉매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전기
원 책임연구원팀은 이산화탄소 복합개질 기술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와 메탄에서 화학제품 원료로 사용되는 합성가스를 갱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
칩이 없는 초박막 전자피부 개발..."우수한 민감도로 정밀 진단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2.08.22
따라 전달되는 음향파가 표면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아 속도나 진폭 등이 바뀌면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종의 압력센서로 특별한 전력이 필요없다. 연구팀은 표면탄성파 센서에 질화갈륨 필름을 덮었다. 질화갈륨은 넓은 밴드갭을 가지는 반도체다. 전체 두께가 약 25㎛(마이크로미터,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세계 최초 개인정보 보호 적용된 AI 반도체 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8.20
AI 반도체칩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KAIST 제공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유민수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차등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이 적용된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할 AI 반도체칩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기술은 AI 기계학습에 사용되는 그라디언트(학습 방향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