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비교
뉴스
"
비교분석
"(으)로 총 3,483건 검색되었습니다.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인공 방광암 조직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잉크젯 바이오프린팅을 이용한 방광암 모델 제작 및 암 이질성 분석 모식도.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잉크젯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방광암 종양 모델을 제작하고 종양 내 이질성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포스텍은 정성준 창의IT융합공학과 교수, 신근유 생명과학과 교수, 윤웅희 융합 ... ...
[프리미엄 리포트]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07.11
① 사람은 ‘세포’라는 기본단위로 이뤄져 있으며 ② 음식을 섭취해 에너지를 보충하는 ‘물질대사’를 하고 ③ 이에 따라 세포는 수를 늘리며 ‘생장’을 한다. ④ 이 와중에 외부에서 어떤 변화가 있으면 그에 따라 ‘반응’을 하면서도 ⑤ 체온과 같은 신체 상태는 일정하도록 유지하 ... ...
[프리미엄 리포트] 백신 개발의 뒷이야기
과학동아
l
2020.07.11
많은 사람이 기억하는 최초의 백신 개발자는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다. 제너는 소 젖을 짜던 사람들이 천연두와 비슷하지만 증상은 훨씬 약한 우두에 쉽게 걸리고 이후에는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1798년 우두바이러스를 접종해 천연두에 대한 면역력을 얻게 하는 ... ...
중성자별 이중성계 관측해 우주 팽창속도 '고민' 푼다
연합뉴스
l
2020.07.09
비대칭 질량 중성자 충돌 관측해 '허블상수' 독자 측정 [Courtesy of Arecibo Observatory/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 William Gonzalez and Andy Torres.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질량 차이가 크게 나는 '펄서' 이중성계가 관측돼 우주의 팽창 속도를 나타내는 '허블상수'를 둘러싼 논쟁에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 ...
코로나19 변이로 전파력 정말 높아졌나…전문가들 "감염력 높아져도 사람간 전파력 증가는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코로나19 환자 가득찬 브라질 병원 집중치료실. 최근 유럽과 미국, 남미 등에서 널리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변이 때문에 감염력과 전파력이 높아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감염력에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전파력은 차이가 적을 수 있는 만큼 차분히 연구를 기다려 ... ...
영화 '쥬라기 공원'서 침 뱉던 공룡 "저 아닌데요"
연합뉴스
l
2020.07.08
딜로포사우루스 "약한 턱" 초기 연구결과 잘못 바로잡아 [Brian Engh, commissioned by The Saint George Dinosaur Discovery Site.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약 1억8천300만년 전 쥐라기 초기에 살았던 공룡 '딜로포사우루스'(Dilophosaurus)는 영화 '쥬라기 공원'(1993년)에서 성인보다 작은 덩치에 목덜미 주름을 부채처 ... ...
"美아프리카계 미국인 코로나19 감염 위험 백인의 2.7배" 라틴계도 3.2배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5일 뉴욕타임스가 미국 내 약 1000개 카운티의 인종별 코로나19 환자 발생률을 지역별로 조사 비교한 탐사보도 결과를 보도했다. 상당수 카운티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나 라틴계 미국인의 코로나19 환자 발생률이 백인보다 높았다. 붉은색이 아프리카계, 노란색이 라틴계이며 아시아계는 연한 파란 ... ...
수출규제·감염병 위급사태 대비하려면 자급자족 기술 관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제공 일본의 수출 규제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와 같은 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혹은 산업적 가치가 높거나 가치가 낮아도 국가 안보와 국민경제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목적기술(CPT)’을 찾아내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 ... ...
우주 생명체 '씨앗' 탄소 뿌리고 스러지는 백색왜성
연합뉴스
l
2020.07.07
초기 질량 태양의 1.5배 이상 돼야 탄소 공급 '기여' 지구에서 약 8천광년 떨어진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NGC 7789. '캐롤라인 장미'로도 알려진 이 산개성단의 백색왜성은 예상치를 뛰어넘는 질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Guillaume Seigneuret and NA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백색왜성이 우주 생명 ... ...
코로나19 사태 반년 '풀리지 않는 5가지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모습이다. 국립알레르기및감염병연구소 제공 지난해 말 중국 우한에서 번지기 시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전세계를 강타한 지 6개월이 지났다. 6일 기준 전 세계 환자가 1155만명을 넘긴 가운데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지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