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3,947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용 불화수소 국산화 위한 품질평가 본격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푸리에변환적외선분석기(FTIR)를 이용해 10여 종의 기체 불순물을 분석한다.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분석기(ICP-MS)로 20여 종의 금속성분 불순물을 분석해 최종 순도를 결정한다. 표준연은 이와 관련한 표준 시험절차서 개발을 내년 상반기 중 완료하고 20여 종 가스 소재 분석법 개발을 이어 진행할 ... ...
2024년 재개한 유인 달 탐사에선 첫 발은 '우먼 퍼스트'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나오게 된다. 마지막으로 아르테미스 3단계에서는 오리온 우주선에 달 착륙선을
결합
해 여성과 남성 우주인을 태우고 달 표면 착륙을 시도한다. 3단계에 걸쳐 진행될 '아르테미스 계획'을 설명하는 모식도. NASA 홈페이지 캡처 ○ 착륙지는 달 남극, 변동 없어 이날 텔레콘퍼런스에서는 ... ...
신종 감염병, 30분 만에 진단하는 새 유전자 기반 진단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0
만든다. 새 RNA는 완성되면 스스로 꼬이면서 입체 구조를 갖는데, 이 구조는 형광물질과
결합
해 빛을 낸다. 이 방법으로 연구팀은 30~50분 만에 적은 양의 표적 RNA를 검출하는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네이처 의공학 논문 캡쳐 이 모든 과정은 하나의 시약병 안에서 별도 조작 없이 한 번에 이뤄진다. 총 ... ...
결장암 발병 원인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신호전달 단백질이다. 성인의 세포에서도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Wnt 분자와
결합
하는 수용체 등 다양한 단백질이 Wnt 신호전달 과정에 관여한다. 이들 단백질 중 일부에 돌연변이가 생겨 오작동을 일으키면 암이 발생한다. 특히 소장 줄기세포 등의 세포막에 있는 RNF43 단백질은 Wnt ... ...
[코로나19 연구속보] 확진자 중 유독 많은 비만 환자…“코로나19 수용체 더 많았다”
2020.09.18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결합
한 ACE2 수용체는 폐로 들어가 폐 조직 내에서의 코로나 바이러스 농도를 증가시킨다는 설명이다. 특히 비만인 환자에게선 폐 염증 및 섬유화 등을 유발하는 등 더 심각한 병증을 불러올 수 있다고 연구진은 경고했다. 아울러 ... ...
[쉽게 다시 풀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전문가들 "근거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말했다. 구조생물학자인 남궁석 SLMS 대표 역시 “스파이크 단백질과 세포 단백질이 잘
결합
하도록 사전에 예측해 구조를 만든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했다. 바이러스 전체 게놈에 변이가 널리 퍼져 있다는 사실도 ‘인공 제작설’을 부인하는 근거로 지적됐다. 남궁 대표는 “인위적 ... ...
[화보+]가장 오래된 정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발견됐다. 암컷은 수컷이 주머니에 정자를 보관했다 난자가 나오면 저장했던 정자를
결합
하는 방식으로 번식한다. 대형 정자를 이용한 번식은 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생식 기관을 가져야 해 종의 생존에 유리한 방식은 아니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번 발견이 진화론적 관점에서 대형 ... ...
정말 바이러스를 뜯어고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을까
2020.09.17
바이러스에 존재할 수 없는 서열이 아니라는 사실이 입증됐다. 재미있는 것은 RmYN02는 ACE2
결합
부위의 삽입 서열이 존재하지 않고, 이 부분에서는 ZC45, ZXC21와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이 바이러스 역시 옌 연구원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원본'이라고 주장하는 ZC45, ZXC21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 ...
[팩트체크] 우한연구소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논문...전문가들 "증거 불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2의 추정 기원’이라는 논문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주요
결합
부위(RBD) 염기서열을 박쥐,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 및 다른 인체 감염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염기서열과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천산갑 등 동물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거의 같은 ... ...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체 침투 관문 문턱 확 높일 새 표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헤파린과
결합
하는 대신 헤파란설파이트와
결합
하지 않으면서 역시 최대 90%까지
결합
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헤파란황산염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새로운 치료제 표적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헤파린 등 헤파란황산염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저해제를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