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분석하는 탐사활동을 펼치고 있다.화성의 북극 지역에 해당하는 이곳은 현재 해가
지지
않고 낮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지구로 따지면 백야의 계절인 셈이다. 그 덕분에 영하 30~80℃의 추운 날씨 속에서도 하루 종일 햇볕을 쬐며 동력을 얻는다. 하지만 올해 9월 초가 되면 밤낮이 생기고, 몇 개월 더 ... ...
2. 세상에서 가장 비싼 '반물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암흑에너지의 정체에 관해서는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으며 이에 관한 실험도 거의 이뤄
지지
않고 있다. 그나마 암흑물질은 상황이 조금 나아 새로운 입자 몇 개가 암흑물질 후보로 거론되고 있고(초대칭입자도 그 중 하나다) 이를 찾는 실험도 세계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다.문제는 우리가 알고 ... ...
1957년 조지 윌리엄스 교수의 자연선택 담은 노화진화이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교수의 이론은 많은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고 그의 이론을
지지
하는 연구결과가 계속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현상을 진화론으로 해석해 때로는 무리한 결론을 내린다는 비판도 있다. 실제로 그의 다면발현 유전자 이론에 맞지 않는 유전자도 보고돼 있다. 즉 돌연변이가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게놈 분석을 주도한다면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질 것”이라며 서 교수의 연구를
지지
했다.이미 미국 국립인간게놈연구소 프랜시스 콜린스 소장을 중심으로 이뤄진 다국적 연구팀은 3년 동안 1000명의 게놈을 해독하겠다는 ‘1000 게놈 프로젝트’를 지난해 말 발표했다. 중국 역시 지난해 10월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발현되면 특정한 형태의 공감각이 생긴다고 추측했다. 아직 공감각 유전자의 실체는 밝혀
지지
않았다.이렇게 가지치기가 됐음에도 여전히 엄밀히 구분되지 않는 감각이 남아 있다. 후각과 미각이 그 주인공. 아침에 커피 메이커로 커피를 내리는 장면을 떠올려 보자. 끓는 물이 커피 가루가 담겨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변형 프리온은 자외선을 쪼이거나 대기압에서 360℃로 한 시간 가열해도 없어
지지
않는다”고 밝혔다.소나 인간이 살아 있는 상태에서 변형 프리온을 찾아내려면 혈액이나 오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우희종 교수는 “수혈로 변형 프리온에 감염된 사례를 보면 이는 변형 프리온이 환자의 혈액에 10 ... ...
호날두의 신무기 무회전 슛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감소하는 반면, 반대쪽에서는 압력이 증가한다. 베르누이 정리에 따르면 공기가 ‘흐트러
지지
않고 흐를 때’ 빨리 흐르는 쪽이 느린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압력이 낮은 쪽으로 힘이 작용해 축구공이 휘게 된다. 이 효과를 ‘마그누스 효과’라고 부른다.UFO 슛은 공이 휘는 ... ...
AI와 싸우는 첫 번째 강력 백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상태 각 전자의 스핀양자수는 1/2이므로 전전자계의 스핀양자수 S=1을 만족시키기 위해 짝
지지
않은 두 개의 천자가 다른 궤도로 들어가야 한다변수의 차수가 3차인 항을 포함하는 정방정식(整方程式)삼차신경에 어떤 장애가 있어 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마비되는 것 독립적으로 오는 것은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실제로 공감각을 경험하는 쌍둥이에 대한 연구도 수행됐다. 그러나 현재까지 모계유전을
지지
하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현재 미국 베일러 의대 연구팀은 공감각 경험자 가족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유전자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로는 감각의 연합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있으며 ... ...
숲 속에 핀 '나무의 귀' 목이버섯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자낭균이라는 공생균을 만나야 비로소 균사로 변한다. 예전에는 목이류의 공생균이 밝혀
지지
않아 인공재배를 하지 못했다. 예들 들어 흰목이는 참나무에 기생하며 자낭균인 방석콩꼬투리버섯(Hypoxylon sp.)과 함께 있어야만 자실체(버섯)를 만든다.활엽수의 고목에 무리지어 살며 전 세계에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