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비슷해 ‘땅 위의 위성’이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장비 주위뿐 아니라 대기 전체의 질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실제 위성과 역할이 비슷하다. 판도라를 움직이는 건 전자기기로 가득 찬 노란 박스인데, 항상 온도를 20℃로 맞춰줘야 한다. 박스를 열면 온도가 달라져 고장 나므로 ‘절대 열지 말라’는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표식이 리셋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성염색체에 기록된 메틸화 패턴인 유전체 각인은 세대를 넘어서도 잘 보존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리프로그램밍을 피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최 : 식물에서 밝혀진 것은 없나.노 : 식물에서도 리셋을 피하는 방법은 모른다. 대신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일반 방송프로그램을 촬영할 때 사용하는 ENG 카메라를 사용하면 심도가 깊어서 화면 전체에 초점이 잘 맞는 대신, 피사체가 평평하게 보인다.적절한 연출도 필수다. 음식을 가만히 그릇에 담아 놓을 때보다 한 숟가락 퍼 올릴 때 더 맛있어 보이기 때문이다(맛집을 소개하는 방송에서 음식을 촬영할 ...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고령층 숫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현재도 폭염사망자 중 60세 이상 고령자가 56%로 전체의 절반을 넘는다. 20대 사망자가 6%인 데 반해 70대 사망자는 20%에 이른다.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가 진행된 일본의 경우 연평균 182명이 여름 동안 온열질환으로 사망한다.폭염은 다른 어떤 자연재해보다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병에 걸릴 확률이 진단이 맞을 확률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하물며 메르스는 전체 인구 중 186명이 감염된 병이다. 걸릴 확률이 십만 분의 일보다 낮다. 김 교수는 이 경우 반복 검사를 통해 진단 오류를 줄인다고 말했다.빅데이터로 더욱 정확한 진단~!우리를 위협하는 질병이 점점 ... ...
- 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받아들일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싱글족에게 맛있는 한 끼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인 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의 25%다.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혼자 사는 셈이다. 쿡방은 이런 ‘나홀로 식사족’들에게 맛있는 한 끼라는 힐링을 선사했다. 쿡방 중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는 프로그램의 특징만 봐도 쿡방이 특히 1인 가구에 어필하고 ...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쪽은 1000만~2000만 광년, 두께는 300만 광년 정도다. 이런 평평한 형태(Supergalactic Plane) 안에 전체 은하의 3분의 2가 모여있고, 나머지 3분의 1은 그 주위에 구 모양으로 퍼져있다. 실제로 밤하늘에서 바라보면 처녀자리, 머리털자리, 큰곰자리 방향을 따라 가며 은하들이 길쭉하게 분포한다. 이 사실을 ... ...
- 너도 금사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별자리인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인 ‘베가’입니다. 일등성인 베가는 전체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 북반구에서는 시리우스, 아르크투르스에 이어 세 번째로 밝습니다. 특히 우리 나라가 있는 중위도 지역 바로 위를 지나기 때문에 도심의 빌딩들 사이에서도 휘황찬란하게 빛나지요. ...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예각과 둔각이 비대칭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어요.세계 최대 규모일 뿐만 아니라, 건물 전체가 예술품과도 같아서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2015년 꼭 가봐야 할 명소 52곳’ 중 하나로 뽑혔답니다. 이제는 세계적인 명소가 돼버린 DDP. 이곳의 매력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격적이면서도 ...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일어난다. 흰자를 많이 치대면 치댈수록 공기방울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고 거품 전체 크기는 커진다. 또 거품벽이 단단해지면서 거품도 오래 간다. 잘 만든 달걀흰자 거품은 지름이 10~150μm 정도다.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물과 공기가 다시 분리된다. 결국 거품이 하나둘씩 터지면서 사라진다. 심한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