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기
백척간두
위급
모험
누란지위
위태
고비
d라이브러리
"
위험
"(으)로 총 4,42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집이 달라졌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타고 내려갈 줄을 선택할 것! 하지만 신중하라. 이 중에는 매듭이 풀리면 끊어지는
위험
한 줄이 있다. 잘못하면 건물에서 추락할 것이다!”수학이 어긋난 이상한 나라“폴리스, 넌 정답을 알고 있지? 피곤하게 자꾸 나 보고 생각하라고 하지 말고 네가 한번 풀어 봐.”이 말에 폴리스가 폴을 쳐다보며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다.로봇의 눈도 대신할 수 있다. 영국 워릭대 연구팀은 키넥트로 재난이 일어났을 때
위험
에 처한 사람을 찾는 인명구조 로봇을 만들었다. 기존에 쓰던 값비싼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를 저렴한 게임기로 바꾼 것이다. 로봇 만드는 비용이 줄었을 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진보했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틈을 채워 보강할 수도 있다.김 교수는 “구조물을 더 튼튼하게 만들거나 테러의
위험
이 있는 시설에 적용할 수 있다”며 “방탄조끼를 만들거나 투명하게 만들어 유리에 사용하는 등 다양한 활용 방법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2몸속 세포까지 추적한다우리 몸 안을 들여다보는 의료 장치는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증발 돼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었지. 이전의 삶아 만든 국수는 수분 때문에 늘 상함의
위험
이 있었거든. 게다가 유탕면은 언제라도 뜨거운 물속에 넣으면 면발을 튀기면서 생겼던 작은 구멍으로 다시 물이 들어가 빠르게 조리 할 수 있었어.우리나라에서는 1963년 9월 15일, 일본의 명성식품에서 기술을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중심에 위치하지 않아도 정보를 잘 전달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빠른 만큼
위험
하기도 해트위터는 멱급수 함수로 이뤄진 구조와 리트윗 덕분에 정보의 전파속도가 빨라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언론사보다 훨씬 빨리 정보를 전달한다. 지난 해 일본대지진과 같이 큰 사고가 났을 때도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퍼져간다. 태평양 망망대해 너머에 새로운 섬을 발견할 수 있다는 확신이 없음에도
위험
을 무릅쓰고 떠났다. 특별한 목적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서서히 늘어가는 다른 인류의 자취를 피해 새로운 땅으로 향했다. 이런 과정은 태평양 섬 구석구석에 발자국을 남기며 1500년 전까지 이어졌다.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세계대전 당시 인류는 20억 명에 불과했다.지금은 세 배가 넘는다. 단순히 인구가 많다고
위험
한 것이 아니다. 20세기 중반 이후 일부 지역에 인구가 집중적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슬럼이 생기는데, 이곳이 문제다. 인구 밀도는 극도로 높은 대신 위생시설 등 질병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살아 있는 사람에게 미세바늘을 이식하는 것은 너무나
위험
한 수술이다. 게다가 뇌 표면은 주름이 많이 잡혀 있어 각 신경세포마다 바늘을 꽂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미래는?영화 ‘써로게이트’나 ‘아바타’에서는 주인공들이 뇌에 어떤 기구를 넣지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선생님은 자신의 꿈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그런 이유로 의사가 되고 싶은 거라면
위험
해. 남들이 보는 것, 부모님의 기대 때문에 이렇게 가능성 많고 아름다운 사춘기의 꿈을 그렇게 찾으면 안돼.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직업이 몇 가지 없다는 게 안타깝구나.”사실 다양한 직업을 직접 접하는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한다.“저희는 스케일이 달라요. 납땜을 하는 게 아니라 용접을 하죠. 물론 용접처럼
위험
한 작업은 선생님이 직접 하시지만 바로 옆에서 지켜보고 과정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즐겁습니다.”기계공학을 꿈꾸는 학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신혜준 학생은 생명과학자를 꿈꾼다. 혜준 학생 역시 색다른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