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테스트
검사
실험
셤
고사
시도
진단
d라이브러리
"
시험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흰 설탕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영화 줄거리극락도란 섬에는 모두 17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제약회사의 신약개발 연구원인 주인공 우성(박해일 분)은 마을 이장과 짜고 주민들에게 무상으로 지급 ... 오류가 없었다고 하나 윤리적인 문제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다. 당연히 피험자의 승낙과 엄격한
시험
통제가 있어야 한다 ... ...
원숭이는 도박사?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바꿔가며
시험
한 결과, 원숭이들은 75%의 확률로 승률이 높은 쪽에 ‘걸었다’. 연구팀은
시험
중에 원숭이 좌뇌 가운데 정수리 부분의 뇌파를 계속 기록했다. 이 결과 색에 대한 힌트를 담은 도형이 나오는 순간 뇌의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양 박사는 “이는 원숭이가 도형에 숨겨진 ... ...
스스로 치료하는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고분자 개발은 이번이 처음이다.연구팀은 인공피부를 만들어 자가치유 고분자를
시험
했다. 지름이 수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인 빨대로 3차원 구조물을 만들고 그 위에 에폭시층을 코팅했다. 코팅에 균열이 생기면 자가치유 고분자는 빨대를 따라 이동해 균열 부위로 흘러들어간다. 10시간 뒤에는 ... ...
PART4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은 석탄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발전소는 지난해 스웨덴의 바텐팔사가 세계 최초로 30MW급의 발전소를 지어 현재
시험
운전을 하고 있다. 상용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기대 가치는 매우 높다.우리나라는 2006년 12월 차세대 청정 석탄기술 상용화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었다. 300MW급 한국형 석탄 IGCC 설계기술을 개발하고 ... ...
공정시스템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2006년 4월 개발한 ‘웹셀(WebCell) 3.0’이 그것이다. 이제는 미생물을 키우기 위해 발효기나
시험
관, 멸균기가 필요없다. 대신 컴퓨터 모니터에 수많은 단백질 모델이 그물처럼 얽혀있을 뿐이다.“미생물을 하나의 화학공장으로 보는 겁니다. 예를 들어 정유공장에선 휘발유를 얻기 위해 촉매를 넣고 ... ...
세계 최강의 전차가 태어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무서운지 냉큼 달려가 만났어요.탄생을 축하합니다.고마워요. 저는 2일에 경남 창원
시험
장에서 처음 선을 보였어요.우리 군이 언제부터 흑표님을 개발한 건가요?준비는 1995년부터 시작됐어요. 12년 동안 2000억 원을 들여 개발했는데 정식 이름은 XK2라고 해요. 저는 한 대에 83억 원이나 돼요.그런데 ... ...
떠다니는 탄소를 거래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1971년 11월에 착공하여 77년 6월에 초임계(初臨界 ; 원자로의 점화)에 도달하고 각종
시험
을 거쳐 78년 4월부터 본격적인 상업가동(商業稼動)에 들어갔다 구조식안에 고리모양의 원자 배열을 가진 유기 화합물의 한 무리 사슬화합물과 더불어 유기화합물의 계통을 대표한다 그러나 고리와 곁가지를 ... ...
명가의 숨은 명장 4人4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현대중공업에 연구 시설이라곤 1983년에 들어선 용접기술연구소와 이듬해 2월에 생긴 수조
시험
장이 전부였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조선공학을 전공한 이 상무에게는 프로펠러를 설계하면서 동시에 제작하라는 임무가 떨어졌다. 당시 프로펠러는 모두 일본에서 사온 제품이었다. 1984년 10월 ... ...
왜 같은 사건도 다르게 기억할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전 KBS 아나운서가 출연했을 때의 일이다. 그는 초등학교 때 산수를 못했는데, 산수
시험
시간에 옆 친구에게 “다 풀었으면 나 좀 보여줘”라고 당당히 요구했다. 그런데 커닝해서 쓴 답이 오답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자 답을 보여준 친구에게 적반하장 격으로 “너 공부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미네소타대 로버트 프란츠라는 젊은 과학자가 어두운 곳에서 찍을 수 있는 TV카메라를
시험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우연히 250km 떨어져 있는 뇌운(번개, 천둥을 동반하는 구름) 위의 하늘을 찍었다. 나중에 촬영테이프를 틀어보다가 구름 위에서 예상치 못한 눈부신 불빛을 발견했다. 당시에는 그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