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우사인 볼트는 왜 영원할 수 없나, 근육 노화로 풀어 본 스프린터의 숙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그런데 성호르몬의 양이 많으면 근육의 회복이 빠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공영윤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쥐 실험으로 혈중 성호르몬이 골격근의 성체 근육 줄기세포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 2016년 8월 2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정도가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 100명이 사망했다면, 9000명 당 1명꼴이니 현재의 서울 인구(1500만 명)로 따져보면 1500명이 넘게 사망한 것과 비슷하다. 실로 어마어마한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피해가 컸음을 짐작케 한다. 기상청에서 2012년에 발간한 ‘한반도 역사지진 기록(2년~1904년)’을 ...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지적했다. 이미 이공계열 전공을 택한 학부생도 역할 모델을 찾기는 쉽지 않다. 조은별 서울대 교육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2016년 5월 ‘공학교육연구’ 제19권 제3호에 발표한 논문 ‘공학 분야 역할모델의 현황과 전문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의 실질적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는 전문가 ...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필자는 김재문 충남대병원 신경과 교수와 정기영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과 교수(현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등과 공동으로 2012년 지리산유스캠프에서 진행된 청소년 마음수련 인성캠프에 참가한 성인과 청소년의 뇌가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 조사했다. 캠프에 참가한 375명 중 16명을 대상으로 ...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노명일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연구실은 진정한 ‘배 덕후(마니아)’의 방이었다. 요트부터 잠수함까지 각양각색의 배 모형들이 연구실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노 교수는 “어렸을 때부터 직접 배 만드는 걸 좋아했다”며 “배는 용도에 따라 모양이 다양해 조립하는 재미가 있다”고 말했다 ... ...
- Intro. 수학으로 펼친 상상,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빼꼼. 저 멀리 담 너머에 보이는 우주를 몰래 바라봅니다. 하늘을 수놓은 아름다운 별들의 모습에 눈이 초롱초롱해집니다. 호기심이 생긴 한 아이는 갑자기 우주가 어떻게 생겼을지 궁금해졌습니다. 재잘재잘. 옆에 있던 아이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주고받아보지만 답이 쉽게 나오지 않네요. 누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파앗~!’ 머리가 삐쭉삐쭉 솟아있는 어느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 손바닥에 기를 모아 에너지 형태의 공을 만들어 적을 공격한다. 적은 손바닥에 전기를 흘려 귀를 찌를 정도로 높은 소리가 나는 전기 덩어리를 만들어 대응한다.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처럼 불가능한 ... ...
- 제58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생생한 뒷이야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7월 12~23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제58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가 열렸다. 111개국, 615명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우리나라는 대표팀 6명이 모두 금메달을 따며 2012년 이후 두 번째로 종합 성적 1위를 기록했다. 대표로 출전한 김다인, 김세훈, 백승윤, 안정현, 이송운, 최규현 학생과 엄상일 부단 ...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다양한 분야를 연결했다고 평가받았다. 이런 연구 성과로 미르자카니 교수는 2014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수학대회에서 여성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했다. 이란의 첫 필즈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수학계의 별이 지다그런데 2017년 7월 충격적인 소식이 수학계에 전해졌다. 유방암 투병 중이던 미르자카니 ... ...
- [Focus News] 질소 먹고 위에 구멍, 질소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담근 장미꽃이 작은 충격에도 산산이 부서지는 것처럼 피부가 부서질 수도 있다. 김태한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액체질소처럼 매우 낮은 온도에 노출되는 경우 짧은 시간에도 조직이 얼면서 손상될 수 있다”며 “액체질소를 취급할 때는 반드시 단열 장갑 등의 보호 장구를 착용해야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