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가정 생활과 복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에너지 절약형 주택이 보급된다.● 2012년◎가정에서 사용하는 쓰레기통은 모두 자동
분리
가 가능해진다.◎뿐만 아니라 용기 포장 재료는 생분해성으로 바뀐다(2005년).● 2013년치매의 원인인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법이 개발된다.● 2014년간단한 집안 일을 대신 해주는 로봇이 등장한다. 이 로봇들은 ... ...
첨단 도청 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없는 것이다. 단말기는 이 연속된 신호 중에서 코드를 확인해서 자신에게 맞는 신호만을
분리
해 빼낸다. 이동전화는 전화기마다 고유한 헥사코드가 부여돼 있는데, 이것이 복잡하게 섞여있는 디지털 신호에서 자신의 신호를 찾는 암호와 같은 것이다.헥사코드 복제하면 부분도청 가능때문에 특정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부룩해븐 국립연구소에서 개발하고 있는 약물(Hup A)이다. 이 약물은 동양의 한 식물에서
분리
된 천연물질인데, 부작용이 거의 없고 뛰어난 효능을 발휘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의 효능을 평가하고 있으며, 조만간 상품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전망된다.고통과 불편의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화학상-아메드 즈웨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분리
가 종료된 X원자와 Y원자는 화학반응의 종착점(생성물)이 된다.X-Y분자가 완전히
분리
된 X와 Y원자로 변화되는데는 약 50초가 걸린다고 하자. 그렇다면 1초에서 50초 사이에 존재하는 X…Y분자는 반응물도 아니고 생성물도 아닌 중간상태(또는 전이상태)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처음 분자에 쬐어준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것을 발견했다. 그는 리타와 스탠리 코언(1922-)에게 신경을 성장시키는 인자를
분리
하도록 지시했다. 이 결과로 리타 레비-몬탈치니와 스탠리 코언은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이를 주도했던 함부르커는 노벨상을 시상하기 전 세상을 뜨고 말았다. 노벨상은 산 자에게만 영예를 주기 ... ...
음악파일의 혁명 MP3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와이드라고 표시되는 스테레오 와이드 이펙트는 열악한 청취 환경, 또는 좌우 채널의
분리
도가 떨어져 답답한 느낌이 드는 소스에 대해서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소리나라가 만든 소리통은 기본기능에 충실한 국산 연주기. 플레이 리스트 에디터와 옵션 설정을 별도의 실행파일로 나누어 시스템 ... ...
메기에서 강력한 항균물질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모두 죽이면서도 자신의 정상세포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분리
해 항균제로 개발하면 여러 종류의 병균을 동시에 없앨 수 있다. 또 생물에서 추출한 성분이기 때문에 화학제와 달리 몸 안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돼 부작용의 가능성이 줄어든다 .항균펩티드는 항생제와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밝혀진 것은 1830년대 독일의 화학자 프리드리히 룽게에 의해서였다. 그는 콜타르에서
분리
한 맑은 액체를 ‘석탄산’이라고 불렀고, 1842년 현재 사용되는 ‘페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그러나 실제로 페놀이 소독약으로 처음 사용된 것은 그보다도 20년이 지난 1863년 영국의 외과의사 죠세프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일본 고베대학의 오토후리 교수는 ‘부채꼴 확장설’을 제시했다. 처음 일본 열도가
분리
될 때 가장자리보다 가운데에 강한 힘을 받은 탓에 중심 부위가 꺽인 채 태평양을 향해 밀려나갔다는 설명이다. 이때 일본 열도의 북단과 남단은 각각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50도 정도 회전했다. 이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완전한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일단 가장 잘 보존된 공룡알 한개를 조심스레 둥지에서
분리
해 보니 그 아래에 깨어지지 않은 완전한 알들이 촘촘히 묻혀있는 것이 보였다. 공룡알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앤드루스가 처음 고비사막에서 발견한 공룡둥지의 알과 같은 것이었다. 과거 이러한 형태의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