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어느 한쪽이 무조건 이기는 방법이 없는 흥미로운 놀이다.다시 호박고누로 돌아가보자. 호박고누는 보통 규칙①과 ②만 적용해 실력을 겨룬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승부가 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이때는 여기에 규칙③을 도입한다. 그러면 두 사람 중 한 사람이라도 이기는 경우의 수를 다 ... ...
- 300점 만점에 300점, 퍼펙트 볼링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인내심이 필요한 스포츠다. 온 가족이 함께 볼링도 즐기고 그 속에 숨은 수학도 느껴보자. 볼링 점수 기호 스트라이크 용어연속으로 스트라이크를 쳤을 때, 부르는 용어가 따로 있다. 2회 연속칠 경우는 더블, 3회 연속 칠 경우는 터키라고 한다. 12회 연속 스트라이크를 칠 경우를 퍼펙트라고 ... ...
- 숫자행렬 단추 퍼즐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아직이야. 이걸 평면에서만 갖고 놀 필요는 없잖니?”문제7이 문제를 3차원으로 확장시켜보자. 3×3×3 크기 또는 m×n×r 크기의 ‘숫자건물’에 숫자를 배열할 때 지금까지 연구해 온 문제는 어떻게 논의될 수 있을까 ... ...
-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많이 출제된다. 따라서 기존의 인공지능 컴퓨터가 문제를 풀기란 만만치 않다.예를 들어 보자. “40년에 걸친 두 독일인의 인연은 1844년 프랑스 파리에서 시작됐다”라고 문제를 낸다. 독일인 두 사람에 대해 묻고 있고 1844년 이후 40년 동안 함께 산 부부거나 같이 일한 사람 또는 함께 연구한 사람을 ...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이후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이제 오일러 수 e가 수학적으로 어떻게 정의되는지 알아보자. 그런데 오일러 수는 고등학교의 수학II 과정에서 간단히 소개하고 주로 대학에서 배우는 내용이므로 다음에 주어지는 모든 식을 이해하려고 할 필요는 없다. 왜? 원래 오일러 수는 어려우니까.먼저 앞에서 ... ...
- 연산 정복하기 ②!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마세요(웃음).도전! 나만의 수학문제 만들기예시a÷b÷c×d와 같도록 변형한 식을 만들어 보자. 이 문제를 풀려면, 우선 주어진 식을 간단히 정리하는 것이 좋다. a÷b÷c×d=$\frac{ad}{bc}$. 즉 (a×d)÷(b×c)인데, 과감히 괄호를 생략해 a×d÷b×c로 잘못 쓰는 실수는 하지 말자. a×d÷b×c=$\frac{acd}{b}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앞서 설명한 4가지 경우의 종이를 접는 방법 중 ④의 경우를 예로들어 간단히 설명해 보자. 이때 종이를 접는 시행횟수를 n이라 할 때, 전체 선분의 개수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종이를 몇 번 접었는지 시행횟수를 헤아려 n값을 대입하면 전체 선분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같은 ...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3원칙은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르게 작용한다. 무리 중 하나의 개체 A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A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또다른 개체 B에는 ‘분리의 법칙’이 작동한다. 따라서 A와 B는 서로 밀어내게 된다. 하나의 바이오드가 근처에 있는 이웃과 충돌하거나 한 곳에 너무 복잡하게 모이는 일을 ...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쐐기풀로 옷을 짜서 거위에게 던지면 멋진 왕자님으로 살아난다는 동화를 떠올려보자. 쐐기풀은 가늘고 긴 섬유 집합체이다. 이를 이용하면 스마트하게 환경의 온도, 습도에 따라 고분자 구조를 열고 닫게 만들 수도 있고, 자체 발열도 가능한 구조로 합성할 수도 있으며 신축성을 조절할 수도 있다. ... ...
- 서류와 캠프 두 마리 토끼잡기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자기주도학습전형과 과학창의성전형의 평가요소를 분석하고, 올해 입시전략을 함께 세워보자. 달라지는 교과과정 과학고는 전국에 19개교가 있다. 전국 단위로 선발하는 영재고와 달리 해당 시도 안에서만 모집한다. 올해부터 과학고 교과내용이 바뀔 예정이다. 과학고의 특성에 부합하는 탐구력과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