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금성과 목성의 만남은 특별한 관심거리다.동쪽하늘에 밝은 두 행성이 빛나면서 새벽의
밤
하늘은 활기를 띠기 시작한다. 날이 지나면서 두 행성은 상당히 흥미로운 움직임을 보인다. 매일 일찍 일어나 같은 시각에 두 행성을 살펴보자. 금성은 비교적 일정한 고도에 머물지만 목성은 날이 갈수록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다시 조각조각 잘라진다. 해를 찾기 위해 통째로 컴퓨터에 넣었다가는 며칠
밤
을 새워도 답을 내놓지 못하기 때문이다.“하나의 복잡한 방정식을 여러개의 좀더 간단한 수식으로 바꿔 각각의 컴퓨터가 답을 찾게 한 뒤 이를 다시 하나로 합치는 방법을 병렬컴퓨팅이라고 합니다. 의미있는 결과를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발현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가로수에 이 유전자를 심어 발현시킨다면
밤
에 빛나는 거리의 나무를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도 있다.선인장에 기생하는 깍지벌레에서 추출한 붉은색 천연염료는 립스틱이나 분 등의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일부 남미국가들은 나비의 날개표면에서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개구리, 50만 마리의 병정 개미가 보여주는 놀라운 ‘집단 지능’, 다른 식물과 달리
밤
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선인장, 몸무게가 1.2g인 피그미두더지 등 재미있는 사실도 들었다.이기석 관장이 전시품을 수집한 것은 40여년 전부터다. 산골짝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의사가 된 뒤 다 쓴 기계를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론들이 모두 점근자유성을 가지지 않는데 유독 이 이론만 점근자유성을 가져 처음에는
밤
잠을 자지 못하고 고민했다고 한다. 반면 그로스와 윌첵은 점근자유성을 가지는 이론을 꾸준히 찾고 있었고, 그 이론의 물리적 중요성을 깊이 숙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발견하자마자 일체의 망설임이나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받은 주제다. 이그노벨상은 모두 10개 분야로 올해로 14회째다.생물학상은 청어가
밤
에 방귀를 뀜으로써 ‘적의 등장’을 동료에게 알린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에 돌아갔다.스코틀랜드 해양과학협회 로버트 배티 연구팀은 청어가 수면 위에서 공기를 삼켜 부레에 보관하다가 ‘위기상황’ 이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너무나도 작아서 눈에도 보이지 않는 ‘나노보석’ 을 캐내기 위해 과학자들은 오늘도
밤
을 하얗게 새며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탄소나노튜브로 나노바이오센서 만든다나노물질의 대명사인 탄소나노튜브를 2차 트랜스듀서로 이용한 나노바이오센서가 최근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일단 인공태반시스템에 한 생명이 들어오면 의료진을 비롯한 많은 전문인력이 며칠 동안
밤
을 꼬박 새워가며 붙어있어야 한다. 수많은 검사를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도 만만치 않다.“태자를 2-3일 정도 살리는 건 얼마든지 가능해요. 경험과 기술력이 있으니 인력과 비용만 지원되면 수년후에는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프린트가 찍혀있는 거대한 현수막이 드리워진 이곳은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이다. 오늘
밤
은 인기 재즈밴드 O-Square의 공연이 있는 날이다. 잠시 후 시작될 공연을 앞두고 사람들은 저마다 손목에 튜브를 하나씩 차고, 빨대를 꽂아 음료수를 마시며 긴장을 푼다.관객들의 입장이 끝나고,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입력 임피던스가 넓은 주파수대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단파회선에서 낮과
밤
에 주파수를 바꾸어도 같은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달표면의 지형을 정밀 탐사하기 위해 쏘아 올린 미국의 달표면 탐사기 1966년 8월부터 67년 8월까지 모두 5기가 발사되었다 3호기까지는 달의 적도에 대한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