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도움"(으)로 총 2,308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강조한다. 공동 연구에 필요한 자세일 뿐만 아니라 후일에 모든 경험들이 자신에게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몸소 체험했기 때문이다. 그는 학부생을 1년에 두세 명씩 외국에 교환 연구원으로 보내는 UROP 프로그램을 꾸준히 진행 중이다. 학생들에게 스스로 자신감을 심어주기 위한 목적의 ...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동아사이언스 l2017.02.19
- 에 산다. 얕은 바다의 수질을 개선하고 물고기 서식지를 제공해 사람이 양식업을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 양분 순환, 퇴적물 안정화, 이산화탄소 감소 등 유익한 영향이 있다. 미국 코넬대 생태진화생물학과의 졸리 램 연구원과 동료 연구진이 인도네시아 스퍼몬드 일대 산호초와 해초밭을 ... ...
- 죄책감을 덜 느껴야 하는 이유2017.02.12
- 활동을 통해 자존감과 행복도가 향상되는 현상 또한 같은 이유에서다. 또한 일반적으로 도움을 요청한 사람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인상보다는 일을 잘 하고자 하는 열정이 있으며 유능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갖게 된다는 연구도 있었다. 누군가에게 기대는 것이 그 사람이나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해봤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번 실험 결과는 인류의 털과 땀샘 진화를 이해하는데 별 도움이 안 되는 것일까. 물론 연구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아무래도 사람에게 적용되지 않으면 연구의 영향력이 반감되기 마련이다). 기본 원리는 그대로 유지되지만 사람에서는 태아의 발생과정에서 유전자 ... ...
- [네이처]스마트폰으로 상처 찍어 보내면, 인공지능 의사가 바로 처방을?동아사이언스 l2017.02.05
- 처음은 아니다. IBM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닥터 왓슨’은 이미 의료 현장에서 진료에 도움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천대 길병원이 지난해 말 처음으로 왓슨을 진료에 도입했으며, 부산대 병원에서도 뒤를 이어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상용화까지 이루어진 의료 인공지능이 네이처쯤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알파고에서 구현된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이나 '컨볼루션 신경망'을 구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계산량이 많아지고 복잡해질수록 깊이 있는 수학 영역의 비중이 커진다. 최근에는 학습을 통한 신경망 연결 강도를 조절하고 최적화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다변수함수의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계획한 것 달성하려면, 이렇게! 2017.01.21
- 방법들을 추천한다. 1. 비슷한 과거 프로젝트 경험에 근거를 두고 판단하기 2. 제 3자의 도움을 받거나 3자의 입장에서 자신의 계획이 현실적인지 판단해보기 3. 의식적으로 장애물들을 떠올려 보기 4. 계획을 크게 뭉뚱그리기보다 여러 작은 단계들로 나누고 각각이 얼마나 걸릴지, 각각의 장애물에는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2017.01.01
- 한편 1960년대와 1970년대 마오쩌뚱의 문화혁명으로 과학연구가 붕괴된 중국에도 도움의 손길을 뻗쳤다. 부르주아 사상이라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도 거부했을 정도였던 혁명의 광풍이 가신 1983년 미국물리학회를 대표해 중국을 방문한 버만은 중국의 중견 물리학자 60명을 최대 3년까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바빠 죽겠는데, 남을 도우라고?2016.12.27
- 체험하는 것 등이었다. 행복과 자존감만이 아니다. 좀 의외일지 모르지만 남을 도움으로써 심적 ‘여유’를 얻게 되기도 한다. GIB 제공 현대인들은 ‘빨리빨리’와 ‘바빠 죽겠어’ 등으로 대표되는 ‘시간 기근(time famine)’ 속에 빠져 사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들 물리적으로도 바쁘지만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 학자들을 키울 수 있었던 건 연구에서 학생들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필요할 때는 도움을 주면서도 논문에는 되도록 자신의 이름을 넣지 않으려는, 즉 제자들이 빨리 독립할 수 있게 하려는 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페인은 1967년 연어낚시 여행을 떠났다가 발견한 태평양 연안의 작은 섬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