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율주행차의 눈 '라이다' 나노광학 기술로 손가락 만하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손가락 한 마디 정도
크기
를 갖는 초고속·초정밀 라이다 장치를 값싸게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지 프라임,렙토쿼크...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
과학동아
l
2021.05.10
’이라는 새로운 입자의 존재 가능성이다. 지 프라임은 힘을 전달하는 운반체로 힘의
크기
가 극도로 약해 지금까지 흔적이 보이지 않았지만, 전자와 뮤온에 다르게 상호작용하는 입자일 수 있다. 또 하나는 ‘렙토쿼크(leptoquark)’라는 새로운 입자다. 이 입자는 동시에 쿼크와 렙톤으로 붕괴하는 ... ...
공중 풍력발전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낮추고 연의
크기
를 바꿔 날리면 된다”고 말했다. 전기연은 마을버스 옆 넓이만한 19㎡
크기
로 연을 만들어 고도 500~1000m를 오르내리며 20kW의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유럽은 공중 풍력발전 기술에 가장 앞서 있다. 유럽 각국은 타워형 발전기의 교체 주기가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과학동아
l
2021.05.08
이후 추가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고, DNA도 추출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여기에 두개골의
크기
와 형태가 유인원에 가깝다는 점,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 호미닌이 주로 발견된 동부아프리카가 아닌 중앙아프리카에서 발견됐다는 점 등에 의문을 가지는 학자들이 늘어났다. 하지만 명확한 ‘물증’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프리카서 가장 오랜 현생인류의 무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8
결과 생후 2년 반에서 3년 사이 남자 호모사피엔스로 밝혀졌다. 치아는 날카롭지 못하고
크기
도 작았다. 법랑질의 비율도 현대인의 치아와 유사한 특징을 가졌다. 소년이 잎으로 만든 베개를 옆으로 베고 누워 무릎을 가슴에 당겨 웅크린 형태였다는 것도 포착했다. 연구팀은 이 뼈에 ‘음토토’라는 ... ...
'4월 29일 오전 8시 26분' 이집트 수에즈 운하에 선박이 몇 대 지나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5.07
매번 같은 시간에 특정 지역을 지날 수 있는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를 돌며 차 한대
크기
를 구분할 수 있는 고해상도 카메라로 매일 지구를 촬영하고 있다. GRUS-1D로 촬영한 일본의 유명 관광지 ‘쓰루가만’. 악셀스페이스 제공 이번에 공개한 사진은 수에즈 운하를 포함해 멕시코 지역 호수, ... ...
독일 "백신 생산제약 요소는 생산능력과 품질기준...혁신의 원천 특허 보호해야"…미 지재권 면제 반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5.07
등 치료제로 이용하기 위해 수십 년간 연구해왔다. 하지만 mRNA 분자가 불안정하고
크기
도 커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한 게 지질나노입자(LNP·liquid nanoparticle)다. 지질나노입자는 mRNA를 보호하고 이들이 세포 안으로 쉽게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 ...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무덤 주인은 두살배기 소년
동아사이언스
l
2021.05.07
결과 생후 2년 반에서 3년 사이 남자 호모사피엔스로 밝혀졌다. 치아는 날카롭지 못하고
크기
도 작았다. 법랑질의 비율도 현대인의 치아와 유사한 특징을 가졌다. 연구팀은 이 뼈에 ‘음토토’라는 이름을 붙였다. 아프리카 공용어인 스와힐리어로 ‘아이’를 뜻한다. 연구팀은 뼈를 감쌌던 ... ...
물체에 묻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생존시간, 표면구조가 결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7
쉽게 붕괴할 수 있는 조건을 조사했다. 침방울과 같은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
의 물방울은 표면과 이루는 접촉각에 따라 발수성과 친수성이 달라진다. 연구진은 다양한 접촉각을 시험한 결과 침방울의 접촉각이 60도일 때 바이러스의 생존 시간이 가장 짧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 ...
머스크 화성행 꿈 이룰 유인 우주선 '스타십' 시험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착륙에 성공한 차세대 재사용 우주선 ‘스타십’. 스페이스X 제공 미국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의 차세대 재사용 우주선 ‘스타십’이 5일(현지시간) 오후 6시 8분 ... 끝에 이날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현재 스타십 시제품은 실제 계획의 절반
크기
로 점차 그
크기
를 키워 나갈 예정이다.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