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뉴스
"
물리학
"(으)로 총 2,185건 검색되었습니다.
액체 상태의 나노물질 바로 ‘찰칵’
2015.03.24
나노 입자의 결정과정을 관찰한 것”이라며 “나노 입자 간 상호작용을 규명해 나노
물리학
,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광자 한꺼번에 ‘순간이동’ 성공
2015.03.17
얽힘’ 현상을 이용해 다수의 광자를 양자 순간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고
물리학
분야 권위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양자 순간이동이란 양자정보를 한 곳에서 사라지게 한 뒤 다른 곳에서 나타나게 할 수 있는 전송방법으로 양자컴퓨터와 양자통신 기술에 ... ...
그래핀이 안 된다면 이 물질로?
2015.03.08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일자에 발표했다. 그래핀은 2010년 수상자에게 노벨
물리학
상을 안겨주며 반도체를 대체할 신소재로 급부상했다. 그래핀은 현존하는 물질 중 열과 전기를 가장 잘 전달하지만 전기 흐름을 제어하는 반도체적 성질이 부족해 상용화가 더딘 상황이다. 연구팀은 화학적 ... ...
‘제물포(쟤 땜에 물리 포기)’ ‘수포자(수학포기자)’라면 여기 한 번…
2015.03.08
등 궁금증을 속 시원하게 풀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은 저자인 임채호 서강대
물리학
과 교수가 서강대와 전북대에서 수년 간 강의한 인문·사회계 학생 대상 인기교양 강좌를 바탕으로 썼기 때문에 ‘제물포(쟤 땜에 물리 포기)’도 흥미롭게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 영림카디널 제공 ■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아인슈타인에게 바치는 헌사
2015.03.08
들끓게 했던 ‘중력파 검출’ 논란에 종지부를 찍은 데이비드 스퍼겔 프린스턴대 천체
물리학
과 교수의 논문을 비롯해 일반상대성이론 관련 최신 논문이 실렸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사람의 두개골처럼 보이는 그래픽이 등장한다. 고대 인류로 추정되는 ‘호모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경제/물리 복잡계가 주요 연구 관심분야다. 세상을
물리학
의 눈으로 바라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beomjun@skku.edu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3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최전선(사이언스북스)’을, 2012년 6월 본다는 개념을 확장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현대
물리학
을 소개하는 책 ‘보이지 않는 세계(휴먼사이언스)’를 펴냈다. kylee.phys@gnu.ac.kr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3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마차사고로 사망한 뒤 시름에 잠겨있던 퀴리 부인은 1910년 다섯 살 연하인 프랑스 최고
물리학
자 폴 랑주뱅과 내연의 관계를 맺게 된다. 그런데 랑주뱅의 아내 잔느가 이 사실을 알게 되면서 사태는 걷잡을 수 없게 전개됐고 당황한 퀴리 부인은 이탈리아로 도피한다. 결국 일간지 ‘르주르날’에 ... ...
신성철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 연임 성공
2015.02.26
신성청 DGIST 신임 총장. - DGIST 제공 신성철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초대 총장이 26일 이사회에서 제2대 총장으로 연임됐다. 신 총장은 DGIST에 6개 융복합 대학 ... 평가를 받았다. KAIST
물리학
과 교수 출신인 신 총장은 한국
물리학
회장을 지냈으며 미국
물리학
회 석학회원(펠로)이다. ... ...
“청색 LED 개발에 10년, 노벨상 수상까진 25년 걸렸죠”
2015.02.26
25년이 걸렸습니다. 연구가 빛을 보기 위해서는 기다림이 필요합니다.” 지난해 노벨
물리학
상 수상자인 아마노 히로시(天野浩·55) 일본 나고야대 교수가 한국을 찾았다. 아마노 교수는 26일 서울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구자에게 연구 성과를 다그치지 않는 연구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