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뉴스
"
구조
"(으)로 총 7,933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업현장서 에너지 효율 높이는 '모니터링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절약할 수 있는 선도기술이 개발됐다. 탄소배출 저감과 제조기업의 ESG(사회·환경·지배
구조
) 경영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의 전 주기를 지원할 수 있는 개방·확장형 표준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펨스(FEMS)는 정보통신기술(ICT)을 ... ...
"AI 결합 무선통신‧자율주행 등 디지털 혁신 이끄는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예측모형은 논문의 인용 관계를 바탕으로 생성한 ‘기술클러스터’의 네트워크
구조
정보다. 연구내용과 연구분야 정보를 인공지능으로 수치화하고, 딥러닝 모형을 적용해 기술클러스터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예측하는 모형이다. 구체적인 기능은 대상 기술클러스터에 대한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 ... ...
'농게 눈' 본딴 수륙양용 카메라 개발 송영민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소형 카메라로 360도 수준의 넓은 화각을 구현한 최초의 사례”라며 “특히 농게의 눈
구조
에 착안해 수륙양용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개발한 점에서 생체모방 기술을 한 차원 진보시킨 연구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자율주행, 가상현실과 메타버스, 보안 및 정찰 분야 등에 폭넓게 ... ...
하수 속 암모니아, 유용한 자원으로 '탈바꿈'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통해 하수로부터 분리가 가능해 고농도 암모니아수를 회수할 수 있다. 흡착제는 결합
구조
가 단단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개발된 흡착제는 이온 교환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이온교환수지'에 암모니아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나노물질(CuHCF)'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세포 밖에서 단백질 아닌 '고분자' 합성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연구팀에 따르면 이
구조
는 지금까지의 화학합성법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파마코포어
구조
다. 기존 리보솜을 이용한 단백질 합성과정이 오직 펩타이드 결합으로만 이뤄진다는 사실을 뒤집은 결과다. 이준구 교수는 "단백질 번역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생화학분자들이 의외로 수정 가능성이 ... ...
[인사]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1.31
김현길 △재료안전기술연구부장 김동진 △원자로계통안전연구부장 강경호 △
구조
·지진안전연구부장 김민규 △환경안전기술연구부장지영용 △리스크평가연구부장 김동산 △가속기개발연구부장 권혁중 △입자빔이용연구부장 박준규 △양자광학연구부장 박현민 △SMART원자로기술개발부장 유승엽 ... ...
'사탕수수'에서 찾은 새로운 항생제 후보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효과를 확인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길라로프 교수는 “알비시딘이 세균과 싸우는
구조
를 이해하게 됐다”며 “기존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병원균에게도 매우 강력한 알비시딘은 가장 흥미로운 항생제 후보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 ...
"우주를 손끝으로 탐험"...국내 첫 NASA 점자촉각도서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공감교육을 하는 은진슬 씨(다양성 컨설턴트)는 "시각장애인들은 3차원 입체
구조
에 대해 점자가 개략적으로 설명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는데 점자촉각도서가 이런 갈증을 해소해 준다"고 말했다. 점자 설명의 한계를 촉각모형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번에 처음으로 ... ...
국내 최초 '민간 우주발사체 기업' 타이틀 주인공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하이브리드 우주발사체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하이브리드 기술은 우주발사체의
구조
가 단순하다는 고체연료의 장점과 추력 조절이 가능한 액체연료의 장점을 융합한 기술로 꼽힌다. 짧은 제작기간과 안전성, 경제성을 갖춘 기술이란 게 업체 측 설명이다. 이런 유망성을 인정받아 현재까지 약 ... ...
‘1000조 분의 1초' 나노입자 찰나의 변화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있다. 연구팀은 그래핀 기판 위에서 만들어진 이산화바나듐 나노입자들은 기존과는 다른
구조
를 가지기 때문에 상변화가 일어나는 중간 단계에서 ‘준안정 상태’를 거칠 수 있다는 직접적 증거도 처음으로 확인했다. 준안정 상태란 열역학에서, 상변화가 일어날 온도를 넘었는데도 앞의 상에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