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신"(으)로 총 9,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960년, 미국인 맨프레드 클라인즈와 네이선 클라인이 처음 제안했지요. 두 사람은 자신들이 쓴 글 ‘사이보그와 우주’에서 “인간이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주 환경을 지구처럼 바꾸는 것보다 인간의 기능을 개선해 사이보그가 되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살아가기 위해 필요하다.” 2016년 6월 4일, 미국 테슬라의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트위터에 이런 글을 남겼어요. 뉴럴 레이스는 머스크 대표가 목표로 하는 미래 기술로, 사람의 뇌에 주사하는 그물 모양의 전극이에요. 주사기로 머리에 뉴럴 레이스를 넣으면 뇌 안에서 넓게 그물처럼 ... ...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불안한 관계도 원인이 될 수 있어요. 가족 구성원과 안정적인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다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려고 공격적인 행동을 하기도 해요. [실전!] 개의 경고 행동을 관찰하자!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해마다 2000여 명이 개에게 물려요. 개에 물리는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목줄을 채우고,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DNA 분석 과정 없이 개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며 “개인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유전정보를 이용해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시대가 머지 않았다”고 말했다.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에서 향후 해결해야 할 문제는 정보 보안과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일이다. 주민등록번호처럼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들은 과거의 향수를 자극했다. 젊은이들이 과학기술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이를 통해 자신의 비전을 세우고 노력하는 모습은 경제 발전기 한국의 모습을 떠올리게 했다. 일본의 기술자들이 한국에서 일하며 성장을 도왔던 것처럼, 현역에서 은퇴한 뒤 중국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내 미래의 모습이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논문에서는 심장이식을 받은 이들이 ‘외모의 심각한 변화로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자신감이 떨어져 전반적인 사회 활동을 위축시키는 원인으로도 작용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면역억제제의 또 다른 부작용은 감정 조절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다 보면 쉽게 예민해지고,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성적인 사고가 발달한 사람이야’ ‘나는 감정이 앞서는 편이야’ 등과 같이 자신의 성향을 표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로 동일한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걱정이나 두려움 등 감정을 많이 표출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성적으로 해결 방법부터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런 차이는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편집자주고등학교에서 자신의 진로를 위해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중요한 평가 요소 중 하나입니다. ‘신과람(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 회원으로 활동하는 과학 교사들이 학생들이 할 수 있는 다양한 교내 과학 활동과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한 팁을 소개합니다. 초등학교 과학은 체험과 ... ...
- [수학공작실] 합동과 대칭을 이용해 만든 나만의 하트 무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의해 똑같이 두 부분으로 나눠지면 선대칭, 한 점을 중심으로 180° 회전이동했을 때 자기 자신과 완전히 겹쳐지면 점대칭이라 한다. 대니쉬 하트는 덴마크의 국기 모양을 응용해 만든 하트에서 출발했다. 작도와 합동, 대칭 원리가 더해져 지금은 수학 시간에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수업자료일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분이 좋을 땐 파란색, 좋지 않을 땐 빨간 색으로 빛을 내는 식이다. 향후 그는 자신의 뇌에 직접 전극을 이식하는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터넷 공간에서 서로의 뇌가 연결된다면 말을 하지 않아도 생각만으로 소통할 수 있는 사회가 되리라 기대하고 있다. 워윅 교수는 “현재는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