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흥분
충격
격려
고무
유인
충동
선동
d라이브러리
"
자극
"(으)로 총 2,45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습기가 많아져 감전사고와 누전이 많아진다. 왜 전기는 고압으로 전송할까. 인간은 전기
자극
을 어느 정도 견뎌낼까. 습기가 많아지면 왜 감전이 잘 되는 것일까. 함께 의문을 풀어보자. 얼마 전 강원도에서 30대 남자가 목숨을 잃은 사고가 있었다. 그는 저수지에서 낚싯대를 들고 자리를 옮기다가 ... ...
확산되는 현대인의 불안심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심각한 사람이 불안의 대상에 용감하게 맞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경우
자극
은 증폭되고 병은 더 심해진다. 심지어 심혈관 천식 혈압 위궤양 등의 병리현상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공포증 환자는 스스로 공포를 극복하려고 무리하게 애써서는 안된다. 행동을 바꾸면 정신이 변한다스스로 ... ...
3. 날씬해지는 행동요법5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증진시킨다는 점이다. 알코올이 뇌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식욕중추(그림)의 신경세포를
자극
, '자 이제 그만 하지' 하는 식욕 제어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식사는 물론 안주까지 모두 먹는 일이 흔하다. 4 식사시간 최소 20분 확보소량으로도 포만감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천천히 잘 ... ...
4. 가상현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가상현실 기술의 초창기 모습이다.관찰자의 시각, 청각, 촉각 등 감각기관을 인위적으로
자극
함으로써 인지된 세계를 가상의 세계라고 한다. 컴퓨터의 발전은 이런 가상의 세계를 컴퓨터 내부에서 구축하고 실제의 세계처럼 입체적으로 보면서도 그 세계의 객체들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게 ...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하기 때문에 끝까지 참을 수 없다. 호흡운동은 연수에 의해 조절되며, 호흡을 하도록
자극
하는 것은 혈액 속의 이산화탄소 농도이다.땃쥐와 코끼리의 호흡우리들은 가만히 앉아 있어도 열기를 느낄 수 있다. 아마도 다른 열기구가 없다면 그 열기의 대부분은 우리 몸에서 나왔을 것이다. 우리 몸에서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1mm 정도의 작은 틈이 있다. 이 틈에서 신경전달물질이 오가며 정보를 전달한다. 신경이
자극
되면 세포내에서 작은 주머니에 저장된 신경전달물질이 신경말단에서 분리되고 이것이 다음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 신호를 전달한다. 신경전달물질은 현재 40여종이 발견됐다.혈관뇌장벽혈관과 신경세포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황체 호르몬) 한가지뿐이다.여성의 난소 기능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여포
자극
호르몬(FSH)과 황체 형성 호르몬(LH)에 의해 조절된다. 월경주기가 시작되면 FSH에 의해 미성숙 난자를 함유한 난포가 성숙한다. 이 때 난포가 성숙하며 에스트로겐을 분비해 자궁내막을 두껍게 한다. 배란 3일 전쯤 ... ...
수지침 - 인체의 축소판, 손을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서암전자빔은 작은 크기의 전류를 피부에서 약 2-3mm 떨어져
자극
을 주는 기구다. 이는 통증이 전혀 없으면서도 치료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보조기구다. 각 손가락에 특수합금으로 만든 반지를 끼워 내장 기능을 조절하기도 한다.수지침의 원류 ... ...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신체가 저항하거나 달아날 준비를 하도록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 화학적
자극
때문에 소화관 내 감각 신경은 위의 긴장감을 일으킨다. 만일 상황이 급박해지면 두뇌는 소화관 뇌에게 작동을 멈추라고 명령을 내린다. 그래서 겁에 질려 도망가는 동물은 아무리 급해도 대변을 보려고 멈추지 ... ...
4. 의학 정상인의 심장박동은 카오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두부분, 즉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상호작용에 의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감신경의
자극
은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 부교감신경은 그와 반대로 적용한다. 이는 혼돈시스템에서 그 특성을 나타내게 해주는 늘림과 접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혼돈특성의 감소는 심장기능의 저하로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