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조성기 우주위험연구실 실장은 “발견되지 않은 소행성은 내일 당장 떨어져도 이상하지 않다”며, “전 인류가 힘써 추락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용어정리*LD : ‘달’을 뜻하는 ‘Lunar’와 ‘거리’를 뜻하는 ‘Distance’의 약자다. 1LD는 지구와 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 ...
-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항상 저희가 발을 딛자마자 한꺼번에 날아갔어요. 유독 예민하게 반응해서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불법으로 알을 채취하는 사람들을 자주 겪었기 때문에 지레 겁먹고 피했던 것 같아요. Q인도받은 알로 어떤 연구를 하실 계획인가요?알의 크기를 잴 거예요. 지금까지의 기록을 보면 난도의 알은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능한 얼음의 결정 구조를 모두 만들어냈고, 그 수는 300종 이상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기존에 알려진 저밀도의 얼음 결정 구조인 우주풀러렌 구조와 제올라이트 구조 외에 이보다 밀도가 더 낮은 에어로아이스 구조를 새롭게 찾아냈다. 에어로아이스 구조는 사각형,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성공했다. 이 기술은 2017년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기술 인증을 받았고, 기업에 15건 이상 기술 이전을 성사시켜 총 3억 원 상당의 기술료를 벌어들였다. 윤 교수는 “현재는 인공지능에게 약 5000만 장의 이미지를 학습시켰고, 사람을 구별해내는 인식 정확도가 99.8%로 향상됐다”며 “기쁨,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해양생물자원연구단 책임연구원으로, 미크로네시아의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10년 이상 열대해양생물을 연구했다. 현재는 국내 염생 식물을 조사해 블루카본의 양을 산정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hspark@kiost.ac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무릎을 좀 더 움직여서 무게중심을 유지합니다. 다리 관절로는 보정할 수 없는 수준의 큰 이상 신호가 측정되면 허리를 굽히거나 젖혀야 합니다. 그것으로도 부족하다면 팔을 휘젓고 뒤로 움직이면서 균형을 잃지 않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보정 기능이 들어간 로보트 재권V라면 이제 어디든 ... ...
- [수학뉴스] 힐베르트 3번 문제 고차원에서도 풀 실마리 발견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런데 최근 조나단 캠벨 미국 듀크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이 3차원 이상에서 분할합동인 도형들이 실제로 같은 부피와 덴 불변량을 가진다는 것을 일대일 대응 관계로 확인했습니다. 다만 이는 일부 도형에 대해서만 분석한 결과여서 연구팀은 관련 연구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 ...
- 양자우월성 배 라이벌 매치, 구글 VS IBM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와 블로그를 통해 반박했어. IBM의 양자컴퓨터 연구진은 가장 이상적인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해보니 같은 문제를 2.5일이면 풀 수 있고, 조건을 좀 더 개선하면 시간을 더 줄일 수도 있다고 말했어.IBM은 슈퍼컴퓨터는 오래전부터 쓰고 연구해왔기 때문에 소프트웨어가 많고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가로줄 뿐 아니라 세로줄도 지울 수 있다는 점도 다릅니다. 이렇게 블록을 배치하다 더 이상 남은 블록을 놓을 자리가 없으면 게임이 끝납니다. 언뜻 보면 테트리스보다 쉬운 것 같지만, 블록의 방향을 바꿀 수 없고 격자의 크기가 테트리스보다 작기 때문에 가로세로 3칸으로 이뤄진 3×3 블록이 ... ...
- [미국유학일기] 3주 겨울방학은 휴식, 석 달 여름방학은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많이 투자할수록 더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여름방학마다 일주일에 50시간 이상 연구실에서 일했다. 특히 2, 3학년 여름방학의 경우 하루에 실험을 두세 개씩 해서 정말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은 많이 실패할수록 더 잘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는 사실도 깨달았다.그렇다고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