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동"(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배 빠른 통신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문제를 해결했다. 집단으로 움직이는 전자는 개별 전자로 움직일 때보다 최대 100배까지 이동속도가 빨라졌다. 또 전자 집단의 밀도가 높아졌다 낮아졌다를 반복했는데, 이 파형의 진동이 테라헤르츠 급의 주파수를 보였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잠재시장을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오늘날의 역학 지도오늘날에도 역학지도는 유용하게 쓰인다. 국제 역학 자료와 사람들의 이동 데이터를 토대로 만든 이 지도는 2009년에 일어났던 인플루엔자 대유행(팬데믹)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줬다. 최근에는 반응형(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 기법을 활용해, 다양한 전파 시나리오와 방역법, ...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직 발견하지 못한 운석이 있을 거예요! 편집부는 취재차량을 타고 장장 5시간 이동한 끝에 진주에 도착했어요. 진주는 밭이 많은 곳인 만큼 돌도 무척 많았지요. 하지만 이럴 경우를 대비해 미리 운석 구별법을 알아 놓았답니다. 친구들에게 살짝 공개할게요!까만 돌을 찾아라!지구상에 있는 수많은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단순한 규칙을 주입했다. 서로 너무 가까이 접 근하지 않는 ‘분리성’, 주변 개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정렬성’, 서로 너무 멀어지는 것을 피하는 ‘응 집성’ 등이다. 그의 연구 결과는 군집 이론의 기본 조건 으로 자리잡았고, 이를 응용한 다양한 알고리듬이 꾸준히 발표됐다. 최초 ... ...
- [체험] 손끝으로 만나는 수학세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매지너리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집중시켜야 합니다. 그래서 디자이너들의 손길이 더해져 최종 프로그램이 만들어지죠.이동해 :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일을 잘하려면 어떤 능력이 필요할까요?안드레 다니엘 매트 박사 :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소통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매지너리는 처음 만들어졌을 때보다 지금 ...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거북선에 덮개까지 나무로 만들었다면 더 쉽게 불에 타서 망가지게 돼요. 게다가 이동 중에는 거북선 덮개 위로 걸어 다니기 힘들기 때문에 불이 나도 군인들이 직접 불을 끄기가 어려운 구조이지요. 따라서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불에 강한 철판을 씌웠을 거라고 전문가들은 추측하고 있답니다 ...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구현하는 날이 올 겁니다.” 군집로봇 시스템에는 드론 군집비행이 필수다. 지상 이동로봇과는 비교할 수 없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 고 자율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드론 군집비행 제어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 이를 알기 위해 대전 유성구 과학로에 위치한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약 3만 3000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팔에 위치하고 있다. 빛이 진공 속에서 1년 동안 이동한 거리가 1광년이므로, 우리은하의 크기는 더 이상 우리 머릿속에서 상상조차 하기 힘든 거대한 규모라는 걸 알 수 있다.그렇다면 거대한 우리은하를 좀 더 상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올해 3월, ... ...
- 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위치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도 여러 경로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각 경로를 통해서 다가오는 전자파는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 1940년대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복소수와 지수함수를 이용해 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지금도 널리 쓰이고 ...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색이 된다는 것이 양자역학의 표준해석이다. 하지만, 우주에서 어떤 정보도 빛보다 빨리 이동할 수 없다. 알파 센타우리의 관측 결과는 빛의 속도로 진행하더라도 4년 뒤 지구에 도착한다. 그렇다면 4년이 지날 때까지 지구의 알약은 빨간색과 파란색이 1/2의 확률로 나오는 걸까?이건 말도 안 된다.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