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우리나라는 3면의 바다에서 들어오는 습기를 알지 못하면 강설량과 장마를 알기 힘들다. 새해부턴 배를 타고 바다로 직접 나가 위험 기상을 조기에 진단한다. 이때 타고 갈 ... 있다. VOS 활성화로 기상1호와 함께 조기에 위험기상을 알리고 한 단계 진보한 예보
시스템
을 구축하길 바란다 ... ...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는 숫자와 글자를 자동으로 인식해 전산화한다. 한 차례 교정 과정을 거친 뒤 통계
시스템
에 입력한다.자료를 다 모았다면 통계분석은 전문가의 몫이다. 과거의 통계와 비교하고 미래를 예측하면서 의미 있는 분석을 내놓는다. 대표적인 분석은 다음과 같다.✚ 총인구수우리나라의 인구수는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순간 직원은 고객의 정보를 보면서 서비스를 해 줍니다. 10년 뒤 병원에서도 비슷한
시스템
이 도입되지 않을까요?”게놈분석회사인 테라젠의 이민섭 박사는 100만 원에 개인게놈을 분석하는 시대가 3년 뒤에는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DNA 분자 한 가닥에서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 ...
인간 발전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면 사람의 관자놀이에서 발산되는 열이나 주변 빛을 모아 전기를 만든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
을 좀 더 발전시키면 두뇌의 활동을 수시로 감지하는 연구용 장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박귀일 연구원(박사과정)은 “현재는 약 2V 이상의 전압과 11mW의 전력을 만들 수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않게 본다”며 “그렇지만 이제 한의학도 객관적인 데이터로 나타낼 수 있는 진단
시스템
을 갖추는 쪽으로 가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최근 현대(서양)의학 쪽에서도 한의학의 체질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차의과학대는 사상의학을 음양에 따라 좀 더 세분화한 팔상체질론을 바탕으로 ... ...
태양열로 따뜻한 물 만드는 그린 아파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설치해 태양열로 가열한 온수를 각 가정에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어요. 이 태양열
시스템
으로 가구당 월평균 6000원 가량, 단지 전체로는 연간 8500만 원의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대요. 또, 연간 290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여 2만4000그루의 소나무를 심는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답니다. ... ...
산업에서 의료까지 레이저가 다듬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에너지의 출력과 시간, 파동과 파장의 패턴을 조절해 피부과와 한의과 진료에 적합한
시스템
을 개발했다. 그는 “산업용 레이저는 많이 만들고 있지만 의료용 레이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힘들어 상대적으로 개발이 늦은편”이라고 덧붙였다.동신대 한의과대학과는 레이저침 치료기를 함께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생물권 사이의 복잡한 연결과 순환 과정에 대한 연구 덕분에 가이아 가설의 일부는 지구
시스템
공학이라는 과학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았다. 아직 논란의 여지는 남아있지만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이 이론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가이아 이론에서 가이아(지구)는 지구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 ...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할 때 가능한 얘기야.선물을 준비하는 데는 시간이 별로 안 들어. 큰 창고와 자동화
시스템
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지. 또 내가 다른 일을 하는 동안에 컴퓨터가 다 알아서 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지. 그런데 선물을 준비할 때 꼭 고려해야 할 게 있어. 썰매 하나에 모든 선물을 실을 수 없다는 사실이지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현대사회가 인문학의 위기를 비롯해 과거를 돌아보는 데 소홀해진 것은 결국 교육
시스템
의 문제라는 것이다. 그는 “인문학의 위기와 기초과학의 위기는 과거와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결국 한 가지로 볼 수 있다”며 “현실을 한탄하고 외면해서는 결코 문제가 해결되지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