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근육의 힘으로 움직인다. 근육이 낼 수 있는 힘의 크기는 근육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근육모양은 그대로인 채 몸의 크기가 2배 작아진다면 근육의 단면적은 4배 작아지고, 힘의 세기도 4배로 준다. 1. 폴 사프라넥(맷 데이먼)은 다운사이징 이후 화려한 삶을 누리고 있다는 친구의 이야기를 들은 뒤 ... ...
- [종목6] 아이스하키, 선수 위치 실시간 분석 ‘ 언더독의 반란’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움직이는 점으로 나타내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카메라에 잡힌 선수복의 색깔과 모양 정보로 배경과 선수를 구분한 뒤 움직임을 추적한다. 하지만 영상만으로는 각 선수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선수들이 몸싸움을 하면서 부딪칠 때 추적하는 선수가 뒤바뀔 수 있기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위해 열심히 심장을 움직이는 심장근육은 어떻게 생겼을까. 구불구불한 뇌 주름은 어떤 모양일까. 의학 지식을 설명하는 데 그림이 없다면 설명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난감할 것이다. 하물며 혈관의 생김새나 이름, 장기 부위별 크기와 움직임처럼 복잡하고 어려운 의학 지식을 다루는 책이나 ... ...
- [Culture] 계란과 고기 단백질의 결착력, 생선전 & 동그랑땡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치대면, 반죽이 점점 끈적끈적해집니다. 공 모양이든, 둥글넓적한 모양이든 어떤 모양으로 빚어도 무너지지 않고 그 모습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고기에는 다양한 단백질이 들어 있는데, 그중 글로불린이 소금이나 간장 속 염(NaCl)의 양이온(Na+)과 결합하고, 반죽으로 빠져나와 찰기를 만들기 ... ...
- [Career] 땀과 공기 통하는 숨 쉬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름이 약 3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인 섬유가닥으로 뽑은 뒤 그물망 모양으로 엮고, 그 위에 금 입자를 코팅하는 방식이다. 금 입자를 코팅하는 이유는 측정한 생체 신호를 흘려보내기 위해서다. 흰색 한지처럼 보인 부분이 고분자물질이다. 고분자물질은 금 나노섬유로, 피부의 뼈대 ... ...
- [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대한 순수한 지적 호기심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단순한 구조에서 복잡한 모양과 문양이 저절로 나타나는지 신기했던 겁니다. 아직도 이런 현상은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거든요. Q. 눈결정 연구가 수학과 관련이 있나요?물론입니다. 저는 물리학자로서 결정이 자라나는 다양한 현상을 ...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건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독일 수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3차원에선 공을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으면 된다고 추측한 지 무려 378년이 지난 1998년에야 엄청난 양의 컴퓨터 계산을 통해 문제가 풀렸으니까요. 2015년까지 4차원 이상의 문제에 관해선 해결된 게 전혀 없었습니다. 다만 2003년 헨리 콘 ... ...
- [과학뉴스] 목성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관한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냈다고 발표했어요. 대적점은 목성의 남반구에 위치한 타원 모양의 거대한 소용돌이 구름이에요. 보통 붉은색을 띠고 있는데, 시간에 따라 색의 진하기가 조금씩 변하지요. 또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답니다. 연구팀은 주노의 마이크로파 방사계를 통해 목성의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기문 사이의 간격은 15m다. 스키로는 전문 스키 강사의 조언을 토대로 11자 대신 A자 모양으로 활강하는 자세를 택했다. 정 선임연구원은 “방향을 바꿔야 할 때에는 로봇이 발목을 꺾어서 한쪽 스키 날의 각도를 바꾸도록 프로그래밍했다”며 “오른쪽 발목을 꺾으면 왼쪽으로 방향을 틀고, 왼쪽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세포는 분열에 들어가기 전에 유전물질을 복사합니다. 우리가 흔히 염색체를 ‘X’ 모양으로 그리는데, 이는 복제를 통해 2개가 된 자매염색분체를 나타낸 것입니다. 그대로 복사를 했으니 ‘자매’보다는 ‘쌍둥이’라고 부르는 게 더 정확할지도 모르겠네요. 복제된 염색체는 자신의 짝인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