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울과 몽상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두 개의 밝은 빛으로 깊은 어둠을 만들어 냈다는 이야기도 원리는 같습니다. 빛도 소리와
마찬가지
로 파동이기 때문입니다. 마술사의 신비로운 능력도 알고 보면 수학 원리일뿐이랍니다.조각을 모아 전체로“나 자신의 조사는 조금 더 특이한 것이었는데, 내가 말해온 이유 때문에 그러했지. 분명한 ... ...
고민타파! 키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버려버려컴퓨터 게임은 정말 재밌지만 꼭 버려야 할 괴물이야. 손에 들고 하는 게임도
마찬가지
란다. 게임을 하다 보면 올바른 자세로 앉아 있기가 어렵지? 이렇게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오래있으면 뼈가 휘게 돼. 그럼 키가 줄게 된단다. 실제로 올바른 자세만으로도 키가 2㎝까지 차이날 수 있어. ... ...
측정과 어림, 통계의 시작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참값의 범위는 40.0%(42.1% -2.1%)에서 44.2%(42.1%+2.1%) 사이입니다. 샤이니의 인기도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조사해서 나온 측정값이 35.3%고, 그 오차범위가 33.2%(35.3% -2.1%)에서 37.4%(35.3% +2.1%)입니다. 신뢰수준이 95%라는 것은 동일한 조사를 100번 했을 때 자료값이 95번은 신뢰 ...
롱다리 신인 거미 납시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통에 땅 속에 숨어 있다가 놀라 도망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예요. 다른 동식물들도
마찬가지
죠. 우리 모두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고요! 아! 미인계로 개발을 막을 수는 없을까요? 이제 세상에 막 알려졌는데…. 제 롱다리 봐서 제발 개발 좀 하지 마잉~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가스의 속도가 빨라져서 진동하는 횟수도 늘어 높은 소리가 난다. 휘파람도 방귀와
마찬가지
원리다. 혀로 입안 공간의 넓이를 좁히고 세게 불면 높은 소리가 난다. 혀를 뒤로 빼고 천천히 물면 낮은 소리가 난다.찬 입김과 따뜻한 입김 나른한 오후, 하품이 나오자 자연스레 손바닥으로 입을 가린다. ... ...
숫자로 풀어 보는 바둑의 원리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깨닫게 된다. 실제 바둑에서도 이나 처럼 두 돌을 놓는 경우는 흔치 않다.
마찬가지
원리로 의 A와 같은 ‘빈삼각’ 모양이나 B와 같은 ‘포도송이’ 모양을 피하는 이유도 잘 설명된다. 가정3 흑과 백은 서로의 힘을 소멸시킨다 바둑은 둘이 두는 스포츠다. 따라서 흑이 놓으면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온몸 곳곳이 밝게 빛났다. 골격(프레임)을 알루미늄합금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휴보1도
마찬가지
로 알루미늄합금을 썼지만 휴보2는 불필요한 부분을 최대한 제거해 무게를 줄였다. 가볍다는 말은 기계공학계에선 그 어떤 수식어보다 아름답다. 가벼워지면 같은 모터로 더 큰 힘을 낼 수 있고,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거쳐야 품목 허가를 받아 치료제로 쓰일 수 있다. 이런 규정은 미국이나 유럽연합 (EU)도
마찬가지
다. 반면 중국이나 일본은 자가유래줄기세포의 경 우 의약품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GMP(우수의약품 제조, 관리기준) 시설이 있는 곳에서 배양할 경우 별다른 규제 없이 의료행위에 쓸 수 있다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게 놀랍다고 말했다. 과학 내부도
마찬가지
다. 한 분야를 좁고 깊게 파는 방식은 20세기가 끝나는 것과 함께 더 이상 통하지않는다는 것. 그렇다면 어떻게 한 사람이 일생 동안 깊고 넓게 탐구할 수 있을까.“물론 이런 일은 불가능합니다. 서로 다른 ... ...
자와 컴퍼스만으로 각 삼등분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수학적으로 전혀 틀린 곳이 없었다는 어처구니없는 일도 있었다.전 세계 어디나
마찬가지
로 우리나라 삼국시대에도 이차방정식이나 일차 연립방정식 정도는 풀 수 있었다. 2000년 전에도 사람들은 삼차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문제를 만들어냈다. 다만 답을 찾아내지 못했을 뿐이다. 예를 들면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