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약
뉴스
"
약물치료
"(으)로 총 2,054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미국의 미생물학자 폴 드 크루이프는 대중을 위한 과학저술의 선구자다. 그가 1926년 발표한 책 ‘소설처럼 읽는 미생물 사냥꾼 이야기’는 18개 외국어로 번역됐다. 2005년 한글판도 나왔지만 아쉽게도 지금은 절판된 상태라 중고책을 구입할 수 있을 뿐이다. 책은 현미경을 발명해 미생물을 처음 본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메르스 바이러스의 단백질 분해효소는 쌍둥이 효소가 서로 달라붙은 뒤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 절단 작업을 진행한다. 퍼듀대 연구진은 단백질 분해효소가 바이러스 단백질에 달라붙지 못하게 막는 억제물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 퍼듀대 제공 미국 연구진이 메르스 바이러스가 스스로 ... ...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20세기에 팬데믹(대유행)을 일으킨 전염병은 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콜레라와 뇌수막염처럼 세균성 전염병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19세기부터 7차례에 걸쳐 유행하고 있는 콜레라는 20세기에만 57만 명의 사망자를 내며 지금도 끈질기게 살아남아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서아프 ... ...
전염병과 싸우는 사람들
2015.06.13
“지난해 수많은 아프리카 의료진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맞서다 죽었습니다. 당시 아무도 이들을 영웅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에볼라 바이러스의 확산을 한시라도 빨리 막을 수 있었던 건 이들의 희생 덕분이었습니다.” 지난해 에볼라를 취재한 시에라리온 기자 우마르 포파나 씨는 ... ...
[메르스 업데이트] 전 세계 메르스 확진 환자 1180명 조사결과 공개
2015.06.05
2012년 6월 사우디아라비아의 한 병원에서 원인 불명의 심한 폐렴 증상을 보이던 60세 남성이 숨졌다. 같은 해 사우디아라비아와 네덜란드 연구진은 이 환자에게서 병을 일으킨 신종 바이러스를 검출해냈다.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가 학계에 처음 나온 순간이었다. 그로부터 2년 뒤인 2014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비슷한 작용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메르스 환자를 대상으로도
약물치료
가 시도된 적이 있었지만 실패했다. 즉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효과를 보인, 선천면역계의 요소인 인터페론-α2b와 C형간염 치료제인 리바비린(ribavirin) 복합처방을 환자 다섯 명에게 실시했지만 모두 ... ...
통풍 환자 희소식, 치료제 지속시간 7배까지 늘렸다
2015.05.21
통풍 치료제의 효과를 최대 7배까지 늘릴 수 있는 방법이 나왔다. 통풍은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지만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어 한 번 발병하면 평생 관리해야 하는 만큼 통증 환자들의 증상 완화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권인찬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은 통풍을 유발하는 요산을 분해해 ... ...
오, 놀라워라~ 파도 쳐도 바위에서 안 떨어지는 홍합 접착력
2015.05.20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홍합이 바위에 붙어 있는 원리를 적용해 특정 환경에서 물질을 방출하는 단백질 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차형준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홍합이 바위에 붙어 있는 원리를 이용해서 약물 전달로 쓸 수 있는 접착성 단백질 나노입자를 만들고 국제학술지 ‘안게반테 ... ...
[이게 궁금해요]단순 감기로 방치하면 안돼… 소아 때 관리하는 게 중요, ‘스테로이드 흡입제’ 권장
동아일보
l
2015.05.18
자녀가 지속적으로 약물 치료를 해야 한다는 불안감과 불편함을 느낍니다. 이 때문에
약물치료
를 임의적으로 중단하고, 일상생활 속 청결 유지 등을 통해 증상을 개선해 보려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환경 관리는 천식의 악화 요인을 감소시킴으로써 천식의 악화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치료 방법 ... ...
이번엔 정말 금연? 성공 실패는 이미 정해졌다
2015.05.13
듀크대 연구팀은 금연을 결심한 사람들의 뇌이미지를 촬영한 결과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위)의 ‘뇌섬엽’과 ‘체감각피질’이 함께 활성화되는 정도(노란색 위)가 금연에 실패한 사람들에 비해 강했다. - 듀크대 제공 올해부터 담배 값이 크게 오르면서 금연을 결심한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4월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