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효
d라이브러리
"
효과적임
"(으)로 총 2,077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인간의 두뇌를 닮은 컴퓨터를 꿈꾸기 전에 먼저 두뇌에서 진행되고 있는 복잡한 정보처리과정의 원리가 밝혀져야 한다.사람들은 인간의 두뇌가 지니고 있는 잠재력을 실감 못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는것 같다. 흔히 머리가 좋은 사람을 가리켜 '컴퓨터'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마치 성능이 뛰 ... ...
미국과 일본의 하이테크경쟁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미국과 일본은 하이테크 세계를 양분하는 실세이다. '창조'의 미국과 '응용'의 일본은 경쟁적이면서 또한 서로를 필요로 하는 단계에 와있다.86년 말 미국의 경제지 '포춘'은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각분야별 전묵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미국 일본 서유럽 소년 등의 '하이테크레이스'(high-tech race)를 특 ... ...
인체속에서 놀라운 역할을 하는 원소 미량금속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비타민에서 미네럴로 바뀌고 있는 경향에 따라 건강에 대한 생각도 급회전하고 있다. 미량금속의 중요성에 대한 최신의 연구성과를 요약, 소개한다.가끔 "바다가 보고싶다"는 생각이 갑자기 떠오는것은 어째서일까. 사람의 혈액과 바다물은 농도가 3~4배 다르기는 하나 원소의 비율이 거의같다.아직 ... ...
컴퓨터에세이② 인공지능과 바벨탑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인공지능이 인간처럼 사소하고 스스로 결과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의지의 알고리즘을 갖는다고 생각하는 것은 대단한 착각이다.실제로 인공지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기술은 그리 중요한 요소가 아니기도 하다. 인체를 살펴보면 물론 두뇌의 중요성이 가장 강조되고 있으나 사실상 두뇌는 ... ...
수은을 아무렇게나 취급해 집단중독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수은중독은 신경계를 마비시켜 발광, 사망까지 초래하며 태아에도 영향을 준다. 이미 산업 선진국에서 중금속피해는 엄청난 재난을 가져왔으며 그것이 국내에서도 여러번 소개되고 경고되었지만 '설마'하는식의 나태와 적당주의가 최근의 잇단 참화를 낳는 이유가 되고 있다.수은은 50년대에 일본 ... ...
컴퓨터에세이① 인공지능은 바벨탑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컴퓨터는 만능의 척척박사라는 찬사와 지독한 멍청이라는 경멸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존재이다.참으로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에 대해 얘기하며 그보다 더 많은 사람이 컴퓨터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있고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의 도움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러면서도 막상 많은 ... ...
과학으로 푼 변화구의 원리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변화구 전문 투수는 자신의 공이 왜 휘는지 알고 있을까? 백구의 시즌을 맞아 투수의 공에 담긴 과학의 원리를 살펴본다.관록의 타이거스와 약관의 이글즈가 플레이 오프 티킷을 따냄으로써 올 프로야구도 절반을 마쳤다. 금년에도 예전처럼 많은 선수들이 그라운드를 누비며 활약했다. 그중 '야구 ... ...
암세포만을 공격하는 가장 효과적인 무기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몸안의 미사일'로 알려진 단클론 항체를 파헤쳐본다. 무슨 원리로 그 신비한 기능을 가지며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또 수명이 3~4일에 불과한 형질세포가 불멸의 세포가 된 이유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이 모든 것은 몸밖의 항원이 몸속으로 들어오면 이에 대항하는 항체가 바로 생긴다는 사실을 ... ...
귀동냥으로 배우는 16비트 PC④ 컴퓨터 활용의 꽃, 데이타베이스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데이타베이스 소프트웨어는 개인용컴퓨터를 업무용컴퓨터로 발전시킨 3대 소프트웨어 중 가장 중요한 것이다. PC가 제값을 할 수 있도록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해보자.이 연재가 말해주고 있듯이 개인용 컴퓨터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분야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람들이 가장 ... ...
뇌의연료 글루코스와 문제푸는 능력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두뇌작용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으나 조금씩 생화학의 신비가 밝혀지고 있다. 최근 캘리포니아 대학의 '헤이어'교수는 수학문제 같은 추상적 문제의 해결능력과 두뇌활동의 연료라고 할수있는 글루코스의 소모량을 스캐너로 조사했다.36개의 문제를 잘 푼사람과 잘 풀지못한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