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동 키즈]이로운 옷 지어 세상에 베풀 수 있다면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내 이름은 이옥선이다. 할아버지께서 법관이 돼 세상에 이로운 일을 하라고 지어주셨다. 그 시절에는 ‘지은’ ‘혜란’ ‘주희’처럼 현대적인 이름을 가진 친구들 ... 자라나는 아이들은 과거 세대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도록 올바른 방향으로 따뜻하게 안내
해
줬으면 좋겠다 ... ...
이불킥 하신 분 어서오세요, 기억 지워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
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phj.mnb@gmail ... ...
[가상 인터뷰] 1급 멸종위기종 얼룩새코미꾸리의 산란 행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연구한 결과”라며 “수조 내에서 이루어진 산란 행동이기 때문에 정확한 습성을 알기 위
해
서는 다양한 조건과 자연 상태에서의 산란 행동을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어. Q 또 다른 물고기들이 어떻게 산란 행동을 하는지 아니?A 물고기들은 알이 다른 생물에게 먹히지 않고 자랄 수 ... ...
[기획] 귀여운 물곰의 초특급 능력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만든 거예요. 토마스 부스비 박사는 “혈액 분말을 이용하면 교통이나 전력시설이 불편
해
서 혈액을 운반하고 보관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환자를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앱으로 사회 문제를
해
결하다! 하인슈타인 하이드리밍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이번 활동을 통
해
여러 직업을 가진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이 생겼습니다. 청소년을 위
해
대변하는 어른이 되고 싶고, 또 백재순 교수님의 조언대로 아이콘과 앱을 디자인하는 UI/UX 디자이너가 되는 꿈도 꾸게 되었지요. 미래에는 직업을 1개만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없을 거예요 ... ...
[특집] 고수의 조언 2. 나만의 선물을 준비
해
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좋은 예라고 설명했지요. 일부 개구리 종은 시끄러운 환경에서 시각적인 의사소통을
해
요. 하지만, 유리개구리과 개구리가 이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브루너 연구원은 “이 종들은 서로 관련이 없다”며 “환경에 적응하며 독립적으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위즈랩(www.wizlab.net)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게임을 만드는 교육용 코딩 페이지예요. 이번에는 타워 디펜스 게임 ... 보세요! 미션을
해
결한 친구는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와르르 선물터’에 자랑
해
주세요! 정답과 당첨자는 6월 7일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기획] 묻고 더블로 가? 공룡 대멸종, 소행성 이중 충돌로 일어났다?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공룡이 모두 사라졌을 시점이기 때문이죠. 대신 기후를 불안정하게
해
지구의 회복을 방
해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다만 이정현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동위원소를 이용한 연대측정법은 오차가 1% 내외로, 약 6600만 년 전이라면 오차 범위는 66만 년이다. 따라서 다른 ... ...
[수담수담] 수학 원리를 꿰뚫는 공부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수학을 꿰뚫어 보는 능력이 있으면 수학을 오래전에 공부했더라도 막힘없이 수학 문제를 풀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창의적인 수학교육 프로그 ... 위한 최적의 답을 찾는 미분방정식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시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해
학습에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
해
”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대안을 통
해
도시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시민이 행복하게
해
야 한다. 모빌리티도 비슷하다. 감당 가능한 수준에서 운영하면서도 시민을 행복하게 하는 데 기술이 적용돼야 하고, 서비스도 개발돼야 한다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