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재활용 포장용기 건강 해칠 수 있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든 포장용기에 음식을 담으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과학
학술
지 ‘포장기술과학’ 온라인판 6월 10일자에 실렸다.스위스 식품통제위원회의 분석화학자인 코니 그랍 박사는 “종이 포장 용기는 보통 한 번 쓴 포장용기를 재활용해 만드는데, 이때 인쇄된 잉크 성분이 남아있다”며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그 뒤 혀를 당기면 ‘혀 국자’에 담긴 물이 입안으로 들어 간다고. 과연 그럴까.생물학
학술
지인 ‘바이올로지 레터스’ 5월호에는 개가 물을 마시는 법에 대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이 연구를 한 미국 하버드대 크롬프톤 교수는 사실 오랫동안 동물의 물 마시는 법을 연구한 이 분야의 전문가다.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해명, 논쟁의 장을 열다과학계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이 연구 결과가 지난해 10월 2일 과학
학술
지 ‘사이언스’ 온라인판에 실렸을 때도 의문을 제기하는 과학자들이 줄을 이었다. NASA가 연구성과를 과장했다는 비판도 많았다. 사이언스도 이를 의식해서인지 온라인판 게재 이후 6개월이 지난 6월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우왕좌왕했지만 의외로 수 개월 안에 모두 능숙해졌다”고 했다. 또 “논문을 쓰고
학술
대회에서 발표할 때 영어를 쓰기 때문에 연구자에게 영어는 필수”라며 “연구실에서 갈고 닦은 연구 실력과 영어 실력은 앞으로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걸릴 위험을 높인다고 단언할 수 없다”고 최종적으로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
학술
지 ‘국제유행병학저널’ 2010년 5월 18일자에 실렸다.장시간 통화 뇌종양 유발한다인터폰 연구가 한창 진행되던 때 스웨덴 오레브로대 의대의 레너트 하델 교수도 동일한 역학조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알지 못했던 밀리칸 교수는 만류했지만 추가 실험으로 결과를 재현한 앤더슨은 단독으로
학술
지 ‘사이언스’(1932년 9월 9일자)에 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난센스’란 평가를 듣는 게 고작이었다. 1933년 그는 이 입자를 양전자(positron)라고 명명했다.한편 1931년 영국에 있을 때 밀리칸은 앤더슨의 ... ...
하이브리드 주행 전력 개발기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더욱 큰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실험실에서 동거동락하며 열띤 토론을 벌이고, 때로는 국제
학술
대회에 함께 참가해 새로운 환경에서 잊지 못할 추억을 쌓고 왔다.재생에너지 변환 연구를 비롯해 어느 분야나 엔지니어는 혼자의 힘으로만 해결할 수 있는 일이 없다. 반드시 협업과 토론이 필요하다.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알맞은 양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자동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08년 5월 과학
학술
지 ‘피직스 인 메디슨 앤 바이올로지’에 게재됐다. tDCS 관련 공학 논문으로는 국내 최초다.tDCS로 정확하게 머리의 어느 부분을 자극해야 하는지도 정해야 한다. 지금 쓰는 TMS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 ...
노벨상 수상자와 함께 나만의 열정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남양주시 와부고1)은 강연이 무척 기대된다고 말했다.생화학분자생물학회는 연례국제
학술
대회가 열리는 첫날인 5월 16일 미래의 생명과학자를 꿈꾸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생명과학 석학과 함께하는 BIO 희망나눔’ 행사를 열었다. 총 600명이 앉을 수 있는 코엑스 그랜드볼룸이 학생들로 가득 찼다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지금은 누구나 그를 한국 최고의 물리학자라고 말한다. 한국인으로는 세 번째로 미국과학
학술
원(NAS) 회원에 선임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임지순 교수(60)다.생애 마지막 목표 수소 저장 물질“‘후배들에게 책임을 다 했다’는 기분이에요. 노벨상 빼고는 최고의 영예니까. 그런데 노벨상은 우리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