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여름철
행하기
여름
실행
실시
하기시간
d라이브러리
"
하기
"(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낚을 수 있을 정도로 물고기가 잘 잡힌대. 연줄을 묶는 얼레에 낚싯줄을 묶어서 낚시를
하기
때문에어린이들도 쉽게 해 볼 수 있어.조개와 게를 잡자!사량도천문대 앞바다는 바로 부두가 있어서 깊은 편이야. 하지만 물이 쫙 빠지는 썰물 때는 작은 게를 잡거나 조개를 캘 수 있을 정도로 자갈밭이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구문초 같은 식물을 키우면 집 안에 모기가 사라진다고 해요. 특히 어독초나 은행잎은 구
하기
도 쉽고 효과가 뛰어난 식물이라고 하네요. 집 안 구석에 놓으면 모기뿐만 아니라 바퀴벌레 등 다른 해충들도 모두 도망간다고 해요.사람에게 해를 입히거나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건 물론이고요. ... ...
독수리 만 했던 잠자리가 작아진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모기처럼 빗방울을 타고 날아다니고 싶었던 닥터 그랜마예요. 그런데 길을 가다가 모기보다 더 대단한 곤충을 만났어요. 독수리처럼 커다란 잠자리 ... 그보다 더 긴 시간이 걸릴 거예요. 그리고 닥터 그랜마가 잠자리처럼 작아지면 나쁜 짓을
하기
전에 다른 사람의 발에 밟히지 않을까요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불빛에 민감한 생물이에요. 암컷과 수컷이 서로의 불빛을 보고 만나 짝짓기를
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주위 불빛이 너무 심하면 서로가 내뿜는 불빛을 보지 못해 번식할 수 없게 돼요. 그래서 곤지암수목원에서는 모든 조명을 끄고 반딧불이가 보지 못하는 10lux 정도 밝기의 빨간 빛을 내뿜는 ... ...
기생충이 많아야 튼튼하게 자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천식과 아토피를 앓는 어린이가 많아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몇몇 전문가들은 과거에 비해 지나치게 깨끗해진 환경 탓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미국 과학자들이 ... 감염될 확률이 오히려 낮아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은 기생충끼리 서로 경쟁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 ...
꿈을 담은 피규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실리콘 틀에서 원형 조각 빼 내기틀을 반으로 갈라 조각을 살~짝 꺼내요.④ 레진으로 복제
하기
레진은 굳으면서 매우 딱딱해지는 성질이 있어요. 그래서 치과에서 이를 만들 때도 많이 쓰지요.⑤ 레진 조각 꺼내기딱딱하게 굳은 레진 조각을 빼 내요.⑥ 피규어 완성!레진 조각에 색을 칠하고 옷을 ... ...
12화 폴의 선택 우주의 구원 VS 집으로?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존재하는 수포자들을 돕고, 결과적으로 우리 세계가 다신 위험해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로 했어.”“뭐? 그게 정말이야?”폴은 침을 꿀꺽 삼켰다. 자신의 지루한 일상에 변화가 찾아올 기회임을 직감했다.“그리고 주사위를 사용해 차원을 안전하게 드나들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지. 차원 이동이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공부했고, 대학원에서는 유명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와 함께 우주에 대해 연구
하기
도 했어요.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사에 들어갔을 때는 새로운 기술을 만드는 재미에 푹 빠졌었죠.그런데 어쩌다 요리사가 됐냐고요? 어릴 때 제가 직접 가족들에게 추수감사절 음식을 만들어 대접한 적이 ... ...
“대학 교수와 함께 연구해요”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술술 설명하는 명호 학생이지만, 연구가 쉬운 것은 아니었다. 우선 하나 같이 일반고에서
하기
어려운 실험이다. 이명호 학생은 “쓰는 기구들이 모두 고가인데다가 처음 접하는 기구들이라 조심스러웠다”고 말했다. 고가의 원심분리기에 뚜껑을 닫지 않은 시료 용기를 넣은 적도 있다. 다행히 ... ...
수학 능력을 향상시키는 놀라운 동작인식 게임!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그 부위의 활동을 증폭시킨 것이다. 카도쉬 교수는 “동작인식 게임은 모든 사람이 좋아
하기
때문에 앞으로 좋은 학습 도구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동작인식 게임과 인지 능력, 그리고 뇌 기능의 상관관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연구할 계획이다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