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폐광지에는 10년이 지났지만 풀 한포기 자라지 않아요.” 국립산림과학원 노은운 박사의
얘기
다. 양분과 수분이 없고, 무엇보다 토양에 중금속이 많기 때문이다. 폐광지는 돌멩이 색도 검다. 여름에는 계란프라이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온도가 높다. 최악의 조건이다. 과연 이런 땅도 식물이 치유할 수 ... ...
가상공간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말한다. KAIST 산업디자인과가 그만큼 세계 톱10에 들어갈 확률이 어느 때보다 높다는
얘기
다. 남 교수는 “잘된 디자인 하나는 기업에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줌은 물론 사용자의 감성까지 윤택하게 한다”고 힘줘 말한다. 냉정한 경제관으로 점철된 듯 보이는 디자인도 편리함을 강조하는 현대 ... ...
다이어트로 인체는 깍쟁이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에너지 절약장치’를 가동한다. 생존하기 위해 기초대사량을 줄여 에너지를 덜 쓴다는
얘기
다. 온몸이 ‘깍쟁이’가 되는 셈. 이렇게 기초대사량이 줄어든 상태에서는 같은 열량의 음식을 먹더라도 더 살이 찐다.여성이 출산이나 폐경 후 살이 찌는 것도 기초대사량이 떨어졌기 때문인 경우가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정신을 차리기 힘들 정도다. 물론 전등과 네온사인이 없는 한적한 시골에서나 가능한
얘기
다.하늘의 별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흔히 우주를 이루는 기본단위는 별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별이 수천억개 모여 있는 은하가 우주라는 거대한 건물을 구성하는 벽돌이다. 이런 사실은 지난해 3월 9일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정전기장을 사용하는 초고압전자현미경보다 정밀도면에서 한수 위에 있다는
얘기
다.하나로이용기술개발부 김영진 박사는 “중성자를 이용하면 결정구조 뿐만 아니라 자기구조나 스핀배열 등 내부의 동적인 상태까지 알아낼 수 있어 액체나 생체막 구조까지 측정할 수 있다”고 말한다. 강한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올 연말이나 내년 상반기엔 일반 사용자들도 초고속 휴대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는
얘기
다.세 회사는 신규 서비스의 성공적인 출발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유선 서비스 사업자였던 KT나 하나로텔레콤은 무선시장 진입의 기회로, SK텔레콤은 4세대 이동통신으로 가는 중간다리로 와이브로를 보고 ... ...
밥을 먹으면 졸린 까닭은? 위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위와 눈꺼풀을 연결하는 인대는 없다. 밥을 먹으면 졸린 까닭은 뇌로 갈 혈액이 위와 장으로 몰리기 때문이다.심장에서 나온 혈액은 뇌, 간, 허파, 피부 등 우리 몸 곳곳에 산 ... 머리는 목의 ‘위’, 가슴은 목의 ‘아래’, 손바닥은 손등의 ‘앞’, 등은 배의 ‘뒤’에 있다고
얘기
한다 ... ...
1. 디자인으로 기업이 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모를 소비자의 요구를 미리 예측해 보기에도 좋고 사용하기에도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는
얘기
다. 게다가 생활 습관을 변화시킬 수도 있어야 한다. 이쯤 되면 디자이너들이 언제나 긴장을 유지하면서 주변 정보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를 알만도 하다. 그러면서도 원칙을 유지하고 끊임없이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새만금간척사업으로 얻은 논에서 제대로 농사를 지으려면 2020년이나 돼야 가능하다는
얘기
다. 또 새만금에 형성될 논은 다른 간척지의 논과 달리 바다 밑 논이기 때문에 이 땅의 용도를 변경해 산업단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7~8m 가량을 객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울의 남산만한 산을 20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난류의 움직임을 수식 단 몇 개로 꼬집어 설명한다는 시도 자체가 애초부터 불가능한
얘기
일지 모른다. 요즘은 연구실의 워크스테이션과 슈퍼컴퓨터가 이 문제를 해결해주고 있다.컴퓨터 분석도 중요하지만 결코 실험을 대체할 수는 없다. 성 교수는 난류를 분석하는 실험 과정에서 요긴한 발명품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