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국제사회와 협력하며 소행성 위협에 대비하는 곳이 있어요. 바로 우주위험감시센터라는 곳이랍니다. 우리나라방위대, ‘우주위험감시센터’ “소행성이 10LD*보다 가까이 오면 빨간불이 떠요.”5월 27일,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 만난 김명진 연구원이 말했어요. 화면에는 지구와 ...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가끔 운 좋게 과거에 살던 사람을 직접 만나는 일도 있습니다. 외치 같은 미라가 바로 이 경우예요. 생물의 조직은 아주 건조하거나, 춥거나, 물에 잠기는 것처럼 부패가 일어날 수 없는 극단적인 환경에서 잘 보존돼요. 심지어는 위장 속의 음식물이나 혈액까지도 보존될 가능성이 있어요. 미라의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산성화 · 카이퍼 벨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태양으로부터 30~50AU 떨어진 궤도에는 도넛처럼 태양계를 둘러싼 천체의 무리가 있어요. 바로 ‘카이퍼 벨트’예요. 왜행성인 명왕성도 카이퍼 벨트에 속한 천체지요. 1951년, 미국의 천문학자 제라드 카이퍼는 해왕성 밖에 대부분 얼음으로 이루어진 천체가 모여있을 것이라 주장했어요. 그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cm²)으로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료전지의 출력과 크기도 10배 이상 높였다. 이 기술은 바로 상용화할 수 있다. 연구에 참여한 임승혁 석사과정 연구원은 “현재 PCEC의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는 양극성 물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doi: 10.1038/s41560-018-0230-0손 교수는 박막 전문가다. 반도체나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빠르게 들어간 것이다. 다윈은 지렁이의 지능도 조사했다. 지렁이에게 빛을 비추면 바로 땅 밑으로 들어가는데, 짝짓기 중인 지렁이에게 빛을 비춰봤다. 지렁이는 불빛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짝짓기를 이어갔다. 다윈은 지렁이의 이런 열정(?)이 지능을 가진 덕분이라고 해석했다. 동료들은 지렁이를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준비가 다 된 것 같습니다.그런데 막상 출동하려고 하니 불안한 것이 하나 있네요. 바로 균형 잡기입니다. 로보트 재권V가 우리 주변에서 일하다가 누군가와 부딪쳐서 넘어지기라도 하면 사람이든 로봇이든 많이 다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듭니다. 이번 호에서는 마지막으로 로보트 재권V에게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추천합니다. 사실 IT 기반 모든 추천 서비스가 이 방법을 써요. 그게 뭐냐고요? 지금 바로 설명할 테니 놓치지마세요! 집단 지성의 힘! 협업 필터링협업 필터링은 비슷한 취향의 사용자들이 좋아하는 콘텐츠를 서로에게 추천하는 기술이에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사용자를 찾기 위해선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모든 정보가 ‘저장소’를 거친다는 점이에요. SNS로 주고받은 말은 나와 친구 사이에 바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저장소를 한번 거쳐 전달돼요. 이렇게 남은 정보는 현실에서의 활동을 그대로 반영하죠. 즉 데이터만으로 모든 상호작용을 알 수 있는 시대가 된 거예요! 데이터 세계에서 실제 ... ...
- 영웅의 탄생! 우리 손으로 그리는 빅데이터 도시의 미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빅데이터 히어로로 거듭났듯, 여러분도 누구나 빅데이터로 세상을 바꿀 수 있어요. 바로 지금, 주위를 한번 둘러보세요. 바꾸고 싶은 점을 찾았나요? 그러면 얼른 COMPAS에 접속해 다른 친구들에게 내 의견을 나눠보세요! 작은 문제부터 큰 문제로 나아가다 보면 어느새 여러분의 등에도 커다란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많이 보는 X선과 같은 방사선보다 더 오래 살아남을 수 있어요. X선은 튜브를 만나면 바로 사라지지만, 뮤온은 튜브를 적어도 5개는 통과할 수 있죠. 즉, 튜브 5개가 동시에 반응하면, 뮤온이 통과했다고 보고 임펄스로 신호를 보냅니다. 뮤온 입자는 지구에서 사람이 만들어낼 수 없는 입자이기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