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한 적이 있다.□수업(또는 근무)시간에도 휴대전화의 전원을 끄지
못
한다.□수업(또는 근무)시간이라도 문자메시지가 오면 바로 답장을 한다.□골치 아픈 일을 잊기 위해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휴대전화 게임을 한다.□새 전화기로 바꾸거나 휴대전화 요금을 내기 위해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의료비를 지원해주고 있다. CMTX5 환자들은 아직 의료비 지원을 받지
못
하고 있다. 하지만 병명도 모른 채 병원을 전전하며 끔찍한 시간을 보내는 환자보다는 훨씬 행복한 경우에 속한다.왜 하필 희귀질환을 연구하냐는 질문에 김교수는 “CMTX5병을 연구하며 의사로서 보람을 처음 느꼈고 지금은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커큐민은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 NF-kappaB 유전자가 활동하지
못
하도록 막는다. 결국 식도암과 관련된 주요한 단백질이 차단된다. 또한 피부암 등 다른 여러 종류의 암에서도 종양세포를 죽여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 뇌에 아밀로이드-베타(β) 단백질이 쌓이는 것을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거품제와 지연제가 있기는 하지만 단가가 비싸 화재가 나도 충분히 사용하지는
못
하는 실정”이라며 “거품제와 지연제가 소화 시간을 2배 이상 단축시키므로 앞으로 이 약재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화재는 인재다. 인간이 정착해 살기 시작하면서 산불의 횟수가 증가했다. 전세계 산불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요리의 발명으로 식재료의 목록을 대폭 추가한 ‘호모 코쿠엔스’가 오늘날 인류를
못
말리는 잡식성 동물로 만들어 버린 셈이다.S라인 몸매도 요리 덕분탄탄한 역삼각형 상체와 S라인의 늘씬한 각선미는 요즘 남녀의 소망이다. 그런데 이런 몸매를 가질 수 있는 것도 요리 덕분이다. 요리와 날씬한 ... ...
거북이 몸 뒤집는 비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어떻게 몸을 뒤집을까. 이들은 아무리 발을 세차게 흔들어 등껍질을 움직이려 해도 몸을
못
뒤집는다. 대신 이 거북은 긴 목을 이용한다. 지레의 길이가 길수록 적은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 수 있듯 긴 목을 지렛대로 이용해 자신의 몸을 쉽게 뒤집는다. 등껍질이 높지도 않고 평편하지도 않은 ... ...
뼈를 얻은 벅스버니, 도널드 덕, 톰과 제리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날개를 붙이든 사람 팔을 붙이든 해부학적으로는 무리가 없다.그런데 도널드 덕은 잘
못
보면 섬뜩하기도 하다. 두개골이 둥글고 뒤통수가 볼록해 사람과 비슷한 느낌이다. 사람처럼 의인화한 캐릭터에 충실하게 골격을 표현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조류의 두개골은 금이 안 갔다. 뼈 하나로 돼 있다는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천체현상의 관측시간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지구가 둥글다고 생각하지
못
했던 당시에는 두 지점의 경도 차이를 ‘동서로 치우친 각도’라는 뜻으로 ‘동서편도’(東西偏度)라고 불렀다. 경도라는 말을 쓰지는 않았지만, 개념은 완전히 알고 있었던 셈이다. 조선시대에는 한반도의 ... ...
선조의 지혜 김칫독, 현대기술의 승리 김치냉장고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이라는 유산균이 젖산과 탄산을 만든 덕이다. 그런데 이 유산균은 다른 미생물은 맥을
못
추는 1℃에서도 잘 산다. 즉 가장 맛있는 김치 온도는 1℃인 셈. 1℃를 지키기 위해 선조들은 김칫독을 땅에 묻었고, 현대인은 김치냉장고에 김치를 보관한다. 한국인의 김치 사랑은 기술의 힘을 빌어 대대손손 ... ...
주사기여 안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해서 심리적인 공포감을 잠시 줄일 수는 있어도 주사를 맞을 때 통증은 실제로 줄여주지
못
한다. 어차피 맞아야 하는 주사라면 횟수라도 최대한 줄일 수 없을까.보통 주사액에 사용되는 단백질은 하루 안에 몸 안에서 모두 분해돼 흡수되기 때문에 치료효과를 지속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주사를 매일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