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해"(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있다.하지만 우리는 오토파지에 대해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 전세계적으로 오토파지에 대해 활발하게 연구한 지 아직 20년이 채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에도 오토파지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추가적으로 알아냈고, 또 조금씩 다른 여러 종류의 오토파지가 일어난다는 사실도 밝혔다.이제는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DNA의 역할이 크다는 반증일 것이다. 하지만 ‘언제나’ DNA가 답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 무턱대고 ‘DNA 검사만 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말하는 것은 결코 과학적이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사람들이 올린 글과 댓글을 열심히 읽었다. 일상에서 대인관계가 활발하지 못한 것에 대해 심리적으로 보상받기 위해서다. 하지만 연구팀이 실험을 해 본 결과 SNS를 아무리 열심히 해도 외로움은 충족되지 못했다.미국 오레곤 건강과학대의 앨런 테오 교수는 2004년부터 6년간 사람들마다 어떻게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알 수 있다.4. 교과 연계초등 3~4학년 생활 속 동물5. 수업 지도 순서멸종위기 생물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있는지 묻고, 자유롭게 대답하며 호기심을 자극한다. ▶ 기사를 토대로 생물들이 얼마나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지, 또 왜 사라지고 있는지 이유를 설명한다. ▶ 기사를 ...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상 많아요.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사무국장은 사람들이 외모로 동물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 “사람의 기준으로 동물을 평가해선 안 된다”며 “모든 동물은 아름답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사라져가는 생물을 지켜라!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Part 2.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정사각형을 4개의 작은 사각형으로 나눠 그 중심을 선으로 이었다. 4개의 사각형에 대해 같은 과정을 반복하고, 나뉜 사각형의 중심을 이어 곡선을 그리면 ㉯가 된다.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수록 점점 더 사각형 내부를 빼곡히 채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당시 수학자들은 선은 폭이 없는 것으로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같다’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등호 ‘=’이다. 도형에서도 ‘같음’에 대해 배웠다. 바로 ‘합동’이다. 그렇다면 다음 두 도형은 ‘같다’고 할 수 있을까?아마도 대부분 ‘다르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이 두 도형이 ‘같다’고 말하는 수학 분야가 있다. 위상수학이다.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발견을 할 가능성이 높다. 전보다 많은 힉스 입자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힉스 입자에 대해 더 정밀하게 연구할 수 있다. 향후 몇 년 동안 LHC의 휘도(luminosity, 상호작용하는 공간 안에서 입자가 충돌하는 횟수)를 5배까지 높일 계획이며, 2035년까지 ATLAS와 CMS 검출기가 지금보다 50배 많은 정보를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의사결정, 2015, 10(6). 549-563).문학상죽은 파리와 아직 죽지 않은 파리를 수집하는 즐거움에 대해 3권짜리 자전적 소설(ISBN 978-1101870150)을 쓴 스웨덴 작가 프레드릭 쇼베르그가 수상했다.의학상몸 한쪽이 가려울 때 거울을 보고 반대쪽을 긁으면 해소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독일 뤼베크대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어가면서 다음 책도 준비중이다. “과학과 문화가 서로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귀띔했다. “우주생물학을 공부하고 문명에 대한 책을 쓰는 등, 인생의 큰 선택을 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건 내 안의 호기심이었다”고 말하는 그는, 과연 인류의 과학문명에 또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