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교수진이 공정시스템, 무기 및 전기전자 소재, 고분자 및 유기 소재, 생물환경 등 크게 네 가지 연구 분야에서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교수 한 명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에 연간 평균 8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활발한 연구 성과 덕분일까.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는 QS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단위를 재정의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과학자들은 단위를 재정의해야 하는 이유로 두 가지를 꼽았다. 하나는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아주 미세한 오차까지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예를 들어, 인공위성에서 신호를 보낸 시간과 신호를 받은 시간을 비교한 뒤, 시간차에 따른 빛의 이동 거리를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소음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워르스키 교수는 “소음을 억제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며 “솜털이 소용돌이 기류를 억제하는 과정을 정확히 파악하면 거친 표면에서 발생하는 소음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의해 성이 결정되는 현상을 연구했습니다.doi:10.1038/nature14574 턱수염도마뱀은 Z, W 두 가지의 성염색체를 갖고 있는데요. Z염색체를 두 개 갖고 있으면 수컷(ZZ수컷), Z염색체와 W염색체를 하나씩 갖고 있으면 암컷(ZW암컷)이 됩니다. 이때 신기한 건 ZZ수컷의 알은 높은 온도에서 배양하면 암컷으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습니다. 그래도 좀 어려워서 조르당 곡선 중에 무한 번 미분 가능한 매끄러운 곡선만 가지고 따지기도 합니다. 2018년 3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의 대학원생인 콜 휴젤마이어가 인터넷 논문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매끄러운 조르당 곡선에는 가로세로 비율이 인 직사각형이 항상 있다는 것을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이 모든 과정을 100시간 수업 중에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만들었다. 이 부장은 “한 가지 주제로 학기당 약 30시간 동안 탐구 활동을 하는 것”이라며, “학교는 물론 다른 영재교육원에서도 하기 힘든 경험”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학 입시에서는 영재교육원 등 학교 밖에서 활동한 내용을 ... ...
- 우수영 서울시립대 입학처장 - “서류 비중 높여 면접 부담 줄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인재상에 대해 이같이 밝히며 “더 많은 학생들이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올해 전형에 몇 가지 변화를 줬다”고 설명했다. 수시모집의 경우 가장 많은 학생을 선발하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큰 변화가 있다. 2019학년도부터 서울시립대 학생부종합전형은 서류 비중이 크게 늘었다. 우 입학처장은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mc2)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즉, 감소한 질량이 에너지로 발생한다는 원리다. 여기서 한 가지 질문. 태양은 영원히 존재할 수 있을까? 아쉽게도 태양의 수명은 영원하지 않다. 태양 내부에서 핵융합에 이용할 수 있는 수소의 양은 태양 전체 질량의 10% 정도다. 이때 생성되는 에너지를 태양이 1년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엄청난 것이 쌓여있을 거예요. 어린 학생들이나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학생도 마찬가지예요. 처음엔 어렵기만 하던 게 익숙해지면 어느 순간 탁 튀어 오르듯 점프하는 때가 올 거예요. 학교에서 집이 가까운 게 연구하기에 좋아 교수 아파트에 산다는 최영주 교수는 최근 가장 빠져있는 일이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채널에서 관측된 정보들을 조합하면 태풍, 집중호우, 폭설, 해빙, 안개, 황사, 화산재 등 52가지나 되는 기상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2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분의 1m) 채널과 12.3μm 채널의 데이터를 조합해 황사 여부를 파악하는 식이다. 최 단장은 “천리안 1호는 눈으로 볼 수 있는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