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엄청난 것이 쌓여있을 거예요. 어린 학생들이나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학생도 마찬가지예요. 처음엔 어렵기만 하던 게 익숙해지면 어느 순간 탁 튀어 오르듯 점프하는 때가 올 거예요. 학교에서 집이 가까운 게 연구하기에 좋아 교수 아파트에 산다는 최영주 교수는 최근 가장 빠져있는 일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아이템이요?”“그래, 이 새는 미션을 해결하고 얻은 아이템이야.”레게머리 아저씨는 새의 등을 쓰다듬었어요. 그러자 큰 새는 할 일을 다했다는 듯, 길 ... 이 게임을 만든 사람이야.” [개념 퀴즈] 세포 내부가 막으로 구분된 기관을 가지고 있는 생물을 원핵생물이라 한다. ( O , X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의견이 많았습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성능이 뛰어나지 않아도 실물 로봇에게 애착을 가지기도 합니다. 지난해 일본에서는 소니의 애완로봇인 1세대 ‘아이보’의 합동 장례식이 열리기도 했습니다. 노인들은 아이보와 오랫동안 함께 지내면서 애정을 갖게 됐다고 합니다. 장 수석연구원은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힘을 보조해주는 시스템이다. 최대 60kg를 추가로 들 수 있어 목과 어깨, 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돕는다. ● “내 팔과 다리 속에 총 66개의 전도체가 심어져 있어요” #Scene 3 이수연의 웨어러블 장치는 한여름을 만나면서 오작동이 발생해 팔에 자석처럼 물건이 붙고, 의지대로 움직여지지 않게 ...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입력을 받으면 어떻게 한다’든지 ‘그래픽이나 음악을 이렇게 표현한다’든지 갖가지 규칙을 컴퓨터가 알아듣게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것이 컴퓨터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입니다. 그만큼 수학적인 소양은 좋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고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현재 전 씨는 크게 두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원래부터 생각해왔던 화장품 연구원이다. 피부가 예민한 그는 특히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자외선차단제 속 화학 성분을 연구·개발하는 연구원을 꿈꾸고 있다. 다른 하나는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mc2)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즉, 감소한 질량이 에너지로 발생한다는 원리다. 여기서 한 가지 질문. 태양은 영원히 존재할 수 있을까? 아쉽게도 태양의 수명은 영원하지 않다. 태양 내부에서 핵융합에 이용할 수 있는 수소의 양은 태양 전체 질량의 10% 정도다. 이때 생성되는 에너지를 태양이 1년 ... ...
- 혈중알코올농도에 대한 과학적 쟁점 4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르고, 시간당 0.008~0.03%(평균 0.015%)씩 감소한다고 본다. 그러나 위드마크 공식에는 두 가지 한계가 있다. 첫째는 알코올이 흡수되고 분해되는 과정의 개인차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위드마크 공식은 백색인종인 코카시안 성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공식인데,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이들보다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추간판은 흔히 ‘디스크’로 불린다. 여기에 인간의 척추는 다른 동물들과 달리 한 가지 역할을 더 해야 한다. 바로 중력에 맞서는 것이다. 인간은 지구에서 유일하게 두 발로 서서 직립보행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누워있는 시간을 빼면 앉아 있든 서 있든 디스크에 계속 압박이 가해진다. 그래서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등장했을 때만 해도 생물학 연구의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 가장 큰 문제는 단일 세포의 유전체(또는 전사체) 양이 너무 적다는 점이었다. 유전체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보통 1μg(마이크로그램·1μg은 100만분의 1g)의 유전체가 필요하다.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