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서
상하
d라이브러리
"
위아래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목 거울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11
부분에서 나온 빛도 마찬가지로 반사돼 다시 모이므로 실물의 모양과 대칭인 모양으로(
위아래
, 좌우가 바뀐 채로) 인형의 상이 만들어 진다(그림1).상자 위에 흰 종이를 갖다대면 인형의 상이 맺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반사된 빛이 실제로 모여서 생기는 상을 실상(real image)이라고 한다. 우리가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11
지구가 거친 숨을 몰아 쉬고 있다. 나날이 올라가는 지구의 온도 때문에 극지방의 빙하가 녹고, 기상이변이 속출하며, 사막이 늘어가고 있다. 또 오존층이 파괴돼 생물들의 생존이 위협당하고 있다. 우리는 위기를 극복해낼 수 있을까.황해 바다는 지난 5만년중 2만5천여년 동안 바닥을 보였고 지금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11
사자자리 유성우가 온통 별밤지기들의 마음을 뺏고 있는 11월이다. 조금 일찍 집을 나서 가족들과 함께 늦가을의 별자리도 익히고 쌍안경으로 숨어있는 아름다운 천체들을 찾아보자. 이것만으로도 취할 만큼 아름다운 가을밤의 정취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1. 목성과 토성목성(남중 : 밤 10시 28분)이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11
물 속에서 물질이 퍼져나가는 것을 보여준 잉크실험의 발문과 사진이 원래 의도한 교육과정의 목표와 동떨어진 이유는 무엇일까.초등학교 6학년 1학기의 분자와 분자운동 단원 중에 물 속에서 물질의 퍼짐을 탐구하는 내용이 있다. 내용의 시작은 '투명한 병에 물을 붓고 깔때기를 끼운 다음, 스포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10
모래바람 속에서 8천만년이나 잠을 자던 공룡들이 깨어나고 있다. 몽골 고비사막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공룡알 둥지가 발견되고, 프로토케라톱스, 오비랩터 등 수많은 공룡화석들이 잘 보존된 곳. 우리나라 학자로는 처음으로 세계적인 공룡화석 사냥터인 고비사막에서 공룡화석을 발굴하면서 겪었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10
한국인의 얼굴이 길쭉해지고 있다. 미간이 좁아지고 콕 ㅏ길어진 탓이다. 요즘 감각으로 보면 세련된 얼굴 형태다. 더욱이 입꼬리가 올라가 상냥한 인상을 풍긴다. 하지만 컴퓨터 사용이 늘면서 전혀 다른 얼굴로 바뀔 가능성도 있다.시경’(詩經)에 강산은 십년에 한번 변하고 얼굴은 천년이면 변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10
2천3백만년 전 일본이 한국으로부터 떨어져 나갔다. 현재 한국과 일본의 간격은 점차 좁혀지고 있으며, 이 경향은 1천만년 후까지 계속될 것이다. 이때 동해안 일대의 지형이 불안정해져 현재의 일본처럼 지진과 화산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지구는 지독한 기록광이다. 자신에게 일어났던 일들 ... ...
자석 바퀴
과학동아
l
199910
알루미늄과 자석으로 레일과 바취를 만들어 전류를 흘려보자.■왜 그럴까?레일을 가로지르는 알루미늄관에 전류가 아래에서 위로 흐른다고 하자. 레일 양쪽에 매달려 있는 마주보는 자석은 같은 극으로 배치돼 있다. 이때 알루미늄관 횡단면의 양쪽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10
청명한 밤하늘이 많은 10월 밤 은하수는 북쪽 하늘에서 카시오페이아와 페르세우스를 지나며 큰 원호를 그린다. 깊은 밤 머리 위에는 가을의 상징인 페가수스 대사각형이 자리잡고 동쪽에는 황도 별자리인 물고기자리와 양자리가 밝게 빛나는 목성과 토성을 안고 있다.1. 물고기자리 Pisces대략위치: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10
태양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우며 표면을 자세히 볼 수 있는 유일한 별이다. 다음으로 가까운 별은 센타우루스자리의 프록시마로 태양보다 27만배나 멀리 떨어져 있다. 태양계의 아홉 행성을 모두 합해도 태양질량의 7백50분의 1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태양의 질량은 크다. 매초당 지구에 다다르는 태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