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3,91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양식 피타고라스 정리
과학동아
l
200706
원리는 중국에서 수학 전체를 대표할 만큼 중요한 것으로 인식됐다. 이 때문에 복희의
손
에는 구고의 원리를 상징하는 곱자가 들려있었던 것이다.기하학원론 vs. 구장산술점, 선, 면으로 이뤄지는 도형을 다루는 수학분야를 기하학이라고 하고, 숫자의 셈을 다루는 분야를 대수학이라고 부른다. ... ...
대한민국 자동차신화 주인공 이충구
과학동아
l
200706
모습을 기억하며 늘 감사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 방앗간의 고장난 기계가 아버지의
손
을 거쳐 다시 돌아가는 것을 보며 그는 과학자의 꿈을 키웠다. 또 힘든 방앗간 일에도 늘 미소를 지으며 행복하게 일을 즐긴 어머니의 모습은 자신에게도 대물림됐다고 믿는다. 40년 넘게 열정적으로 자동차 신화를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06
질에 출혈이 있거나 아랫배가 뻐근하다면 자궁근종을 의심해 봐야 한다. 아랫배를
손
으로 만졌을 때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진다면 이미 자궁근종이 많이 자란 상태다. 자궁근종이 있다고 모두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극심한 생리통을 느끼고 불임을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면 혹을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06
배합한 것 물에 반죽하면 가소성을 일으키므로 반죽한 것을 용광로의 내부벽이나 파
손
된 부분에 밀어넣고 단단히 발라서 노의 응급 수리에 쓴다 가속도는 단위시간당 속도변화의 비율을 나타낸다 속도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 벡터이므로 가속도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 벡터량이 된다 운동하고 있는 ... ...
왜 같은 사건도 다르게 기억할까?
과학동아
l
200706
그렇다면 믿지 못할 기억은 무시해야 할까. 현재 기억 연구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손
꼽히는 미국 워싱턴대 헨리 로디거 교수는 “기억의 역동성은 단순히 실수나 왜곡만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만약 기억이 상황을 그대로 복사하는 수준에서 멈춘다면 새롭게 발생한 문제를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06
쫓듯 서쪽하늘로 이동하는데, 큰 두 별자리 사이에 있는 사냥개자리도 목동의
손
에 이끌려 함께 큰 곰을 쫓는다.그런데 어두운 별 2개로 이뤄진 작은 사냥개자리의 가장 밝은 별에는 ‘봄밤의 추격전’에는 다소 어울리지 않는 17세기 영국 왕이었던 찰스 2세의 이름이 붙어있다. 찰스 왕은 왜 이 별에 ... ...
투명인간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706
굴절률과 같게 만들 수 있다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그런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손
치더라도 여기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눈만 둥둥 떠다니는 투명인간?우리가 사물을 보려면 눈에 들어온 빛이 수정체에서 굴절돼 망막에 상을 맺어야 한다. 그런데 수정체가 공기와 굴절률이같으면 빛이 ... ...
이 시대는 '친절한 외과의사'를 원한다!
과학동아
l
200706
있는지’처럼 환자가 정말 알고 싶은 주제를 정해 알토란같은 정보를 제공한다.수술을 ‘
손
으로 하는 예술’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베테랑 외과의사인 저자도 책을 집필하는 동안 수술대에 누울 경험이 있었다. 환자의 입장이 돼 그동안 써놓은 원고를 읽으니 미흡한 부분이 군데군데 눈에 띄었고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06
내
손
에는 로즈의 머리카락이 한 움큼 쥐어져 있었다. 가여운 태권 V는…… 하체는 내
손
에 들렸고 상체는 로즈의 옆구리에 박혀 있었다. 로즈의 비명과 함께 감 박사와 경호원들이 뛰어들어왔다. 욱하는 성미가 또 사고를 친 것이다. 쥐구멍에라도 숨고 싶었지만 대통령의 서재에 그런 구멍이 있을 ... ...
명가의 숨은 명장 4人4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706
프랑스 GTT사에 역수출되기도 했다. 그의 용접 기술은‘한국의 태양’에까지
손
을 뻗쳤다. 그는 오는 8월 완성을 앞두고 있는 핵융합로인‘KSTAR’를 설계하고, 제작의 대부분을 맡았다. 무게가 1000톤이 넘는 대형 실험 장치라 블록을 용접해 선박을 만들 듯 각 부분을 용접해 만들어야 한다. 김 실장은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