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염기 하나 콕 집어 바꾼다…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새 기능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교수는 "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가 시토신도 치환할 수 있다는 새로운 작용을
알
아낸 만큼, 추후 이 기술을 유전자치료제 또는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하거나 농축산물 품종을 개량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온라인판 2 ... ...
[이정아의 닥터스] "가습기살균제 끝까지 추적해야 피해자 줄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20일 가천대 길병원에서 만난 정성환 가천 미세먼지 질환연구소장. 정 소장은 석면과 가습기 살균제 피해로 인한 호흡기 질병에 대해 의학적으로 ... 있다. 미세먼지에 대한 피해를 100% 막기는 어려워도, 어떤 과정을 거쳐 피해가 생기는지
알
면 효율적인 치료방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사람은 가급적 칼싸움을 피하는 것이 현명했을 것이다. 물론 원시인이 자신의 혈액형을
알
수는 없었을 테지만 말이다. 도대체 인구 집단에서 O형이 높은 빈도로 유지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스크인의 선택 온라인상에서 떠도는 혈액형별 성격, 궁합 등의 콘텐츠. 구글 캡쳐 아마 O형 ... ...
기술자립으로 克日 돌파구 찾는 文대통령…지식기반 혁신 '고삐'(종합)
연합뉴스
l
2019.09.20
선물해 눈길을 끌었다. 앙부일구는 조선 세종 때 제작된 것으로 백성들이 쉽게 시각을
알
수 있도록 글자대신 12지신으로 시각을 표시해 백성들이 왕래하는 대로변에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사각유척은 사각기둥 하나에 각기 다른 용도별 눈금을 음각으로 새긴 놋쇠자로, 조선시대 도량형 표준을 ... ...
제왕절개 아기, 자연분만 아기보다 병원균 더 많이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둘 사이의 미생물 군집 차이는 컸으나 이것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로우리 연구원은 “이번에는 분만법에 따른 미생물 차이가 크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추후에는 어떤 미생물이 아이에게 건강한 장내 미생물이 될지를 분석해 이를 활용한 치료법을 개발할 수 ... ...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IAEA 국제연구용원자로센터 지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재가동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재가동에 대한 구체적인 시기를 아직
알
수 없다”고 밝혔다. 박원석 원자력연 원장은 “이번 하나로의 국제연구용원자로센터 지정은 한국의 원자력기술의 국제적 위상을 다시 보여준 사례”라며 “원자력연구원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연구용원자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
2019.09.17
탄소나노튜브 숲의 검은색이 심상치 않아 반사도를 측정하게 됐고 그 결과 기존에
알
려진 어떤 물질보다도 반사도가 낮게 나왔다. 빛 흡수율이 가장 높은 물질로 밝혀졌다. 이 물질이 빛을 흡수하는 메커니즘은 밴타블랙과 비슷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 효율이 훨씬 더 높은 이유는 아직 모른다. ... ...
[팩트체크]"자석으로 통증 고친다?" 효능 의문 효도상품 건강 자석목걸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교수는 “자기력은 현재 병원에서 병을 진단하는 데도 쓰일 정도로 인체에 무해하다고
알
려져 있다”면서도 “자기력이 건강에 좋다는 근거는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의료용 자기발생기 목걸이의 효능에 대한 이야기는 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 학술지에 실린 논문보다는 광고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투명인간'의 슬픔
2019.09.14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
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 ...
[주말 고고학산책] 고대인들은 철새처럼 옮겨 살았다
2019.09.14
태어나 2년 동안 순서대로 이빨이 자라는데, 이를 보면 사냥 당시 사슴의 나이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아사이언스DB 조사 결과 스타 카 유적에서 발견된 사슴은 한 살이 제일 많았습니다. 이는 태어난 지 1년이 지난 사슴이 초여름에 사냥을 당했다는 뜻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스타 카 유적에서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