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뉴스
"
안정
"(으)로 총 5,469건 검색되었습니다.
'성공' 누리호 앞에 놓인 과제는...신뢰성·가격경쟁력·활용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이뤄지는 4차례 발사의 성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결국 우리 위성을
안정
적으로 쏘아올릴 수 있다는 점을 세계 발사체 시장에 보여주고 경쟁력을 확보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 우주 발사체 시장도 ‘값싸고 안전해야’...가격 경쟁력 확보도 과제 2013년 발사에 성공한 ... ...
올해 첫 장마 '폭우→폭염→폭우'…내일까지 강한 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3
때문에 붕괴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고 설명했다. 25~27일부터는 전국 대기가 불
안정
해 곳곳에 소나기가 내리는 가운데 폭염이 이어질 전망이다. 고기압 영향으로 날이 맑은데 대기에 습기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28~30일은 우리나라 북쪽에 저기압 소용돌이가 발생하고 그 아래 정체전선이 다시 ...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양방향교신 성공 "투입능력 검증"...독자 우주개발 능력 적용 첫 시범사례는 '큐브위성 사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교수팀의 큐브위성 ‘스누글라이트-2’ 등이다. 항우연은 성능검증위성 궤도
안정
화가 마무리되는 이달 29일부터는 조선대 스텝큐브-2를 시작으로 내달 1일에는 KAIST의 랑데브, 3일에는 서울대 스누글라이트-2, 5일에는 연세대의 미먼을 하나씩 사출할 예정이다. 이런 큐브위성 사출 기술은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는 '이들' 꿈도 함께 싣고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고정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누리호의 심장인 75t급 액체엔진 연소 불
안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됐다”고 밝혔다. 엔진에 투입되는 연료와 산화제(추진제)를 충전하는 추진제 탱크도 난제다. 최대 높이 10m, 최대 직경 3.5m 크기의 탱크 내부에 대기압의 4~6배의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 제원과 개발 과정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가장 큰 기술적 난제로 꼽힌다. 개발진은 설계를 12번 바꾼 끝에 10개월 만에 연소 불
안정
을 극복했다. 2018년 11월 28일에는 75t 엔진을 검증하기 위해 누리호의 2단부까지만 만든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하며 중대형 발사체용 엔진을 우주에서 검증한 국가가 됐다. 시험발사체의 연소시간은 151초였다.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첫 위성 발사 30년만 쾌거...과학위성·과학로켓으로 이어진 우주개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어렵고 해결 방법도 마땅치 않아 엔진 설계를 12번이나 바꾼 끝에 16개월 만에 연소 불
안정
을 극복했다. 2018년 11월 28일에는 75t 엔진을 검증하기 위해 누리호의 2단부까지만 만든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하며 중대형 발사체용 엔진을 우주에서 검증한 국가가 됐다. 시험발사체의 연소시간은 15 ... ...
[영상+]누리호가 찍은 지구…우주까지 가는 전 과정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위성 궤도투입 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성능검증위성과 위성모형이 실려있었다. 521초간
안정
적으로 연소를 해야 이들 위성을 목표 고도인 700km 궤도에 위성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번 2차 발사에서 누리호는 목표 연소시간보다 빠른 발사 후 880초 뒤 성능검증위성을, 발사후 945초 뒤엔 위성모사체를 ... ...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상용화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기술인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광전소자의 광 생성 및 소멸 원리를 밝힌 것으로 고
안정
성 페로브스카이트 소자 제작에 도움 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 ...
포스텍·삼성전자, 입자 충돌시켜 메모리 성능 높인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2.06.21
메모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멀티레벨 플래시 메모리는 8개 레벨을
안정
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연구 성과는 이미 우수한 성능과 양산성이 검증된 플래시 메모리를 인공지능 반도체용으로 크게 발전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 반도체 소자에 ... ...
[누리호 2차 발사]1차 발사와 무엇이 다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지상국과 지속적으로 교신을 이어간다. 발사 4시간 뒤에는 남극세종기지에서 자세
안정
화 여부를 확인한다. 발사 일주일 뒤부터는 성능검증위성에서 큐브위성을 사출한다. 큐브위성은 수십 ㎏에서 작게는 수 ㎏ 크기의 위성을 뜻한다. 이틀 간격으로 큐브위성 4기를 하나씩 사출할 예정이다.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