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뉴스
"
셈
"(으)로 총 3,86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미시세계를 보는 ‘창문’이라면, 광집게는 미시세계를 만져볼 수 있는 ‘손’인
셈
이다. \1990년대 초에는 스티븐 블락 미국 스탠퍼드대 응용물리및생물학과 교수가 광집게를 개량해 인간이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힘인 피코뉴턴(pN·1pN은 1조 분의 1N) 단위의 힘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근육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훨씬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맨손 대신 글러브(항체)를 끼고 공(항원)을 잡는
셈
이다. 또한 치료용 항체는 결합 특이성이 높아 효능이 뛰어나고 독성이 낮으며, 화학합성 의약품에 비해 장시간 몸속에서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단클론항체를 대량 생산하려면 B세포의 ... ...
최근 노벨상 5대 트렌드
과학동아
l
2018.12.08
우세했다. 시대가 바뀌어도 대부분 정통 물리학에 속한 연구 업적이 물리학상을 수상한
셈
이다. 반면 화학상은 전반기에는 유기화학과 물리화학이 주요 수상 분야였지만, 20세기 후반에는 생화학 분야가 압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의학상도 과거에는 면역학과 병리학이 주요 수상 ... ...
돼지 심장 이식받은 개코원숭이 195일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생존했다. 기존 이종장기 이식 수술 최장 생존 기록인 57일보다 3배 더 오래 생존한
셈
이다. 브루노 라이하르트 독일 뮌헨대 심장의학과 교수 연구진은 돼지로부터 심장을 이식받은 개코원숭이 16마리 중 한 마리가 195일간 생존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5일자에 공개했다. 이종 장기 이식은 ... ...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종 미생물'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치료제다. 쉽게 말해 말라리아약을 듣지 않게 만드는 기생충을 저격하는 역할을 하는
셈
이다. 안종석 항암 물질연구단장은 "울릉도 토양으로부터 희귀 미생물을 분리해 신규 이차 대사산물을 뽑아낸 것"이라며 "국내 중요한 자원으로서 울릉도 토양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는 성과"라고 말했다. ... ...
암흑물질 '윔프' 발견 오류 가능성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찾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쉽게 말하면 암흑물질의 춘추전국시대가 다시 열리는
셈
이다. 현재 암흑물질 후보에는 윔프 외에도 보다 가볍고 매우 많은 수가 뭉쳐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입자인 ‘액시온’과 ‘비활성 중성미자’가 존재한다. 이번 연구 결과로 액시온 및 비활성 중성미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나노입자는 미세먼지의 몸통이지만 인체 유해성의 관점에서는 ‘트로이의 목마’인
셈
이다. 디젤차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를 도식화한 그림이다. 검댕 나노입자(검은색) 표면에 탄화수소/황산화물(녹색), 금속 입자(파란색)가 달라붙어 있다. ‘앙게반테 케미’ 제공 불완전 연소가 출발점 ... ...
"기술은 팔았지만 배아 실험할지 몰랐다" 유전자 편집기술 관리 '빨간불'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 사용됐다. 유전자편집 관련 기술 관리체계에 구멍이 뚫린
셈
이다. 신테고는 현재 기술 판매 과정에서 2단계 검증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연구자가 속한 대학의 정식 이메일인지를 확인하고 기술구매 희망자의 이력서와 논문을 통해 합법적인 연구기록을 가지고 있는지 ... ...
세계가 다시 머리를 맞댔다…기후변화 막을 최후 대안 만들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밝히고 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도 미국의 입장을 반영한 공동성명이 채택된
셈
이다. 유럽연합(EU) 산하의 과학 연구기관인 이시공동연구개발센터와 네덜란드 환경영향평가청이 지난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온실가스 전체의 26.6%를 배출하는 최다배출 국가다. 미국(13.1%)과 인도(7.1%), ... ...
‘차세대소형위성 1호’ 세 차례 연기 끝에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쏘아 올릴 수 있는 로켓 하나를 세 번 발사 후 회수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한
셈
이 됐다. 차세대소형위성 1호를 쏘아 올린 팰컨9 로켓은 앞서 올해 5월 방글라데시의 통신위성 ‘방가반두-1’을 싣고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가 대서양 해상의 바지선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