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세포를 완전한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있다. 베치그 교수가 개발해 2014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은 수십
나노
미터(㎚·10억 분의 1m) 해상도까지 자세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광학 현미경은 1만 개가 넘는 단백질을 가진 세포 속에서 형광 분자를 붙인 몇 개의 단백질만 볼 수 있다. 세포 속에서 단백질끼리 어떤 ... ...
[표지로 읽는 과학]반도체·배터리 혁신 가져올
나노
다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대로 제어해 소재의 물성을 조절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제작한
나노
다결정을 수소연료전지의 촉매로 사용하는 실험 결과, 촉매 활성이 증가해 전지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금속이나 세라믹 등 다양한 결정재료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도 ... ...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나노
실린더 구조에 빛을 가둬 빛의 색깔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는 광소자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 제 ... 물질 대신 빛을 발생시키는 물질로 구성된
나노
실린더 구조를 제작하면 가장 작은 유전체
나노
레이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세포 움직임까지 느끼는 3D 촉각 인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촉각 인식장치를 뾰족한 구두 굽으로 밟아 압력을 주었다. 촉각 인식장치 내 총 400개의 센서가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했다. 초록색이 압력이 감지된 영역 ... 감지할 수 있는 장치도 후속 연구로 개발중”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나노
레터스’ 15일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학생이 실험하다 떠올린 아이디어가 배터리·태양전지 혁신할
나노
소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구조를 조절해 소재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실제로 이 방법으로 개발한
나노
다결정을 수소연료전지의 촉매로 사용한 결과 촉매 활성이 증가하며 전지의 성능이 높아졌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금속과 세라믹 등 다양한 결정 재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증명해 반도체와 배터리 등 ... ...
피 한 방울로 중증 알츠하이머 진단…정확도 88%
연합뉴스
l
2020.01.15
줄임으로써 분석물 측정의 민감성을 높일 수 있다. 실제 개발된 센서는 기존 탄소
나노
튜브 기반 바이오센서 대비 100배 이상의 민감도를 보였다. 이 센서는 알츠하이머병의 대표적인 바이오마커(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인 '베타-아밀로이드 42'·'베타-아밀로이드 40'·'총-타우 ... ...
한국생물물리학회장에 김승준 생명연 부원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현재 KAIST 겸임교수,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대표교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바이오
나노
융합기술작업반(BNCT) 부의장을 맡고 있다. 2014년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우수논문상을, 이듬해에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김 신임회장은 “한국생물물리학회 회장을 맡게 ... ...
"이미지 더 선명하고 피폭량 확 줄였다 " 신개념 디지털 엑스선 발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전자빔을 방출시켜 X선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설명한 그림이다. 전기신호를 가하면 탄소
나노
튜브 끝에서 전자가 발생한다. 전자는 게이트를 통해 마치 렌즈를 통과한 빛처럼 집중된다. 이 전자가 진공 상태에서 금속과 부딪히면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전기신호를 켜고 끄는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할 ... ...
종이·반도체 생산 필수 '과산화수소' 생산효율 8배 높인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현재의 생산공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현택환
나노
입자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과 성영은 부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유종석 서울시립대 교수팀이 산소와 물만으로 과산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전기촉매를 개발했다고 14일 ... ...
스스로 빛내고 알아서 선명하게… 디스플레이가 살아 숨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퀀텀닷의 발광 특성을 이용해 색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다. 퀀텀닷은 크기가 수
나노
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반도체 입자를 의미한다. 전류 또는 빛을 흡수하면 다시 빛을 낼 수 있다. 전류를 받아 바로 빛을 내는 방식을 전계발광(EL)이라고 부르고, 빛을 받아 다른 파장의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